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우철 연구실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우철 교수

Radiative Cooling Materials

Thermal Conductivity Engineering

Heat Transfer Analysis

김우철 연구실

기계공학부 김우철

김우철 연구실은 기계공학을 기반으로 열 및 물질 전달 현상, 열전소자 및 열전 발전 시스템, 그리고 첨단 에너지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구조 제어, 결정립 코팅, 이종 나노구조 도입 등 혁신적인 소재공학적 접근을 통해 열전소자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저비용·고효율의 에너지 변환 기술을 실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다양한 합금 및 복합소재, 2차원 소재, 나노입자 삽입 등 첨단 소재 설계와 합성법을 개발하여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대면적, 대량 생산 공정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열전 발전 및 열 관리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체 체열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심부 체온 및 생체 신호의 비침습적·연속적 모니터링, 바이오 조직의 열물성 측정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통해 미래형 헬스케어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열전소자는 배터리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건강 모니터링 밴드, 약물 전달 시스템, 스마트 센서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신뢰성 평가와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및 이론적 모델링을 병행하여 열전소자의 열 및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열전소자의 구조 최적화, 열 싱크 설계,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 향상, 신뢰성 평가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차세대 전자기기 및 센서의 자가발전 등 다양한 미래 산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방열 하우징, 열차폐 코팅, 초내열합금, 인공위성 및 군수용 전자장비의 열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온·극한 환경에서의 소재 및 시스템 신뢰성 평가, 수치해석 기반의 열 해석, 실용적 방열 구조 설계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우철 연구실은 기초과학적 탐구와 실용화 연구를 동시에 추구하며, 에너지·바이오·전자·우주·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내외 특허,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상 경력 등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미래 에너지 및 헬스케어 산업의 핵심 연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Radiative Cooling Materials
Thermal Conductivity Engineering
Heat Transfer Analysis
열 및 물질 전달과 열전소자 기술
본 연구실은 열 및 물질 전달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열전소자 및 열전 발전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열전소자는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반대로 전기를 이용해 냉각을 구현하는 소자로, 폐열 회수, 웨어러블 디바이스, 우주·군수·자동차 전자장비의 열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열전소자의 소재 개발, 구조 최적화, 열전 모듈의 대량 제조 공정, 그리고 효율적인 열 싱크 설계 등 열전소자의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제어와 결정립 코팅, 이종 나노구조 도입, 포논(phonon) 제어 등 첨단 소재공학적 접근을 통해 열전소자의 성능지수(zT) 극대화와 저비용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합금 및 복합소재, 2차원 소재, 나노입자 삽입 등 혁신적인 소재 설계와 합성법을 개발하여,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열전소자의 기계적 강도, 신뢰성, 장기 내구성 향상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및 이론적 모델링을 병행하여 열전소자의 열 및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대면적, 대량 생산 공정 개발과 더불어,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 친환경 에너지 전환, 차세대 전자기기 및 센서의 자가발전 등 다양한 미래 산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및 바이오 열전 시스템과 인체 열전달
연구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열전 발전 및 열 관리 기술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체열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심부 체온 및 생체 신호의 비침습적·연속적 모니터링, 바이오 조직의 열물성 측정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열전소자는 인체의 미세한 온도 차이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배터리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건강 모니터링 밴드, 약물 전달 시스템, 스마트 센서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인체 열전달 및 체온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수치 모델링, 생체 조직의 열전도도 및 혈류 관류율 측정 기술, 비침습적 체온 추정 알고리즘 등 바이오 열전달 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병행합니다. 실제로, 혈액이 관류하는 생체 조직의 열전도도 측정 방법론, 심부 체온 추정용 열유속 센서, 웨어러블 열전 발전소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직류승압 회로 등 다양한 특허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헬스케어 산업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인체 친화적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자가발전형 바이오 센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등 미래 지향적 융합기술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신뢰성 평가, 장기 연속 동작, 사용자 편의성 향상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Additive-manufactured topology-optimized heat sinks for enhancing thermoelectric generator conversion efficiency
Park, Junyoung, Yu, Hyun, Bang, Ki Mun, 김우철, Jin, Hyungyu
ENERGY, 202504
2
Effects of Unit Cell Size on Thermal Conductivity in Two Different Polymorphs of Niobium Diselenide
Park, Sungjin, Kim, Kyomin, Kim, Kwangrae, 이우영, 손알로이시우스, Roh, Jong­wook, 김우철
SMALL, 202503
3
Innovative dual-band energy-efficient smart windows using VO2(M)-Based Fabry-Perot structures for solar and radiative cooling modulation
금준호, Choi, Jun, Kim, Sujin, Kang, Guyoung, Lee, Byuonghong, Lee, Min Jae, 김우철
Materials Today Physics, 202503
1
(통합Ezbaro)인터페이스 엔지니어링을 통한 열전도도 조율 및 살아있는 인체 조직의 비침투적 열물성 측정(2/3)(2023.03.01~2026.02.28)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통합이지바로] 저발전단가 구현 신구조 열전 발전 시스템(1/2단계)(3/3)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4년 12월
3
[RCMS]엘지이노텍(주)/① 열전발전 소자/파워모듈 양산 공정 기술 개발(4/4)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4년 ~ 2024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