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재요 연구실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김재요 교수

Shear Wall Stability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s

Lateral Displacement Control

김재요 연구실

건축공학과 김재요

김재요 연구실은 건축공학 분야에서 철근콘크리트(RC) 구조물의 시공 중 안전성, 초고층 건물의 구조 해석, 플랫 플레이트 및 슬래브 구조의 처짐과 내진 성능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다층지지 RC 구조의 슬래브 및 동바리 안전성 분석에 중점을 두고, 시공 하중, 슬래브 두께, 동바리 지지 층수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적 거동을 실험적·해석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초고층 건물의 시공단계 해석 및 구조 안정성 평가 역시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시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중 분포의 불균형, 수직부재의 축소, 기초의 부등침하 등 다양한 구조적 위험 요소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성 확보와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초고층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그 실효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또한, 플랫 플레이트 및 슬래브 구조의 장단기 처짐과 내진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공 하중, 콘크리트 균열, 시공 순서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처짐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내진 성능 평가를 통해 건축물의 지진 안전성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등 다양한 기관의 지원을 받아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 학회, 특허 등 다양한 형태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또한, 실무 적용이 가능한 해석 기법과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건설 산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김재요 연구실은 앞으로도 건축 구조물의 시공 중 안전성, 초고층 건물의 구조 해석, 슬래브 및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성능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건축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Shear Wall Stability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s
Lateral Displacement Control
다층지지 RC 구조의 시공 중 슬래브 및 동바리 안전성 분석
다층지지 RC(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시공 중 슬래브와 동바리의 안전성은 건축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슬래브 두께와 비기준층이 존재하는 다층지지 구조에서 시공 하중의 분포와 동바리의 축력, 그리고 시공 손상 변수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온도와 재령에 따른 적산 온도 이론을 적용하여 등가 재령을 산정하고, 슬래브 콘크리트의 강도 및 강성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슬래브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 각 층별로 작용하는 최대 시공 하중과 손상 변수의 증감, 동바리 지지 층수 및 시공 주기와 같은 시공 조건이 구조물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해석적으로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체, 거푸집, 동바리 사고를 예방하고, 시공 중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다년간의 프로젝트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분석법은 시공 중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및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으며, 향후 건설 산업의 안전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초고층 건물의 시공단계 해석 및 구조 안정성 평가
초고층 건물의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안정성 문제는 매우 복합적이며, 건축공학적 해석과 설계의 핵심 이슈입니다. 본 연구실은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 구조물의 시공단계 해석을 통해, 횡력저항시스템의 형성 전·후 구조체의 자중 분포, 수직부재의 불균등 축소, 골조의 기울어짐, 기초의 부등침하 등 다양한 구조적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시공단계 해석은 실제 시공 일정과 시간 의존적 재료 특성을 반영하여, 각 단계별 구조 성능을 예측하고,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및 시공 보정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설계 및 시공 계획에 반영함으로써 초고층 건물의 안전한 시공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국내외 초고층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며, 구조 해석 및 설계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해석 기법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학술논문, 특허, 학회 발표 등 다양한 형태로 공유되고 있으며, 건축 구조물의 시공단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플랫 플레이트 및 슬래브 구조의 장단기 처짐 및 내진 성능 평가
플랫 플레이트와 슬래브 구조는 현대 건축물에서 널리 사용되며, 그 장단기 처짐과 내진 성능 평가는 구조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시공 하중, 동바리 강성, 콘크리트 균열, 시공 순서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플랫 플레이트와 슬래브의 단기 및 장기 처짐을 실험적·해석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공 중 과하중 및 조기재령 슬래브의 균열이 장기 처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실험 결과와 해석 모델을 비교하여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해 시공 중 및 완공 후 건물의 지진 하중에 대한 구조적 거동을 분석하고, 부재별 단면 성능 및 횡력저항시스템의 효과를 검토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 기준 개선과 시공 단계에서의 안전성 확보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실용화 기술로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연구는 건축물의 장기적 안전성과 내진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Prediction of bond performance of tension lap splic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김재요, 황현종, 백장운, 김창수
ENGINEERING STRUCTURES, 201911
2
Time-Dependent Deformations of Eccentrically Load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Eom, TS (Eom, Tae-Sung), Kim, CS (Kim, Chang-Soo), Zhang, X (Zhang, Xin), Kim, JY (Kim, Jae-Yo)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1812
3
Integration of ifc objects and facility management work information using Semantic Web
Kim, K (Kim, Karam), Kim, H (Kim, Hyunjoo), Kim, W (Kim, Wooyoung), Kim, C (Kim, Changduk), Kim, J (Kim, Jaeyo), Yu, J (Yu, Jungho)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803
1
시공 중인 다층지지 RC 구조의 슬래브 및 동바리 안전성 분석법 개발(3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시공 중인 다층지지 RC 구조의 슬래브 및 동바리 안전성 분석법 개발(2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3
시공 중인 다층지지 RC 구조의 슬래브 및 동바리 안전성 분석법 개발(1차년도)
한국연구재단
2022년 06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