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나노구조재료연구실은 저차원 나노소재와 첨단 복합소재의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응용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목표는 그래핀, MXene, 이황화몰리브덴, 육방정 질화붕소 등 저차원 소재를 기반으로 한 나노복합체의 설계 및 대량 합성 기술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에너지 저장장치, 복합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소재를 개발하는 데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저장 및 변환 분야에서는 리튬이차전지, 아연이온전지, 슈퍼커패시터 등 고성능 전극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차원 소재와 금속, 산화물, 탄소계 복합체를 활용하여 고용량, 고출력, 장수명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하며, 전극 보호층, 촉매, 재활용 금속 기반 친환경 소재 등 실용화에 가까운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분말야금 및 첨단 복합소재 공정 분야에서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마이크로파 소결, 기계화학적 볼밀링, 3D 프린팅 등 다양한 첨단 공정기술을 적용하여 금속 및 세라믹 복합체, 고엔트로피 합금, 초경합금 등 고성능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희소금속의 재활용 및 고순도화, 나노분말화 기술을 통해 자원순환과 친환경 소재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복합재료의 계면 제어, 나노입자 분산, 강화기 설계 등 복합소재의 성능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첨단 소재의 개발과 실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나노구조재료연구실은 다학제적 접근과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적인 소재 기술을 창출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저차원 나노소재와 복합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업 현장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