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기능성 고분자 소재의 설계 및 합성
배진영 연구실은 기능성 고분자 소재의 설계와 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고분자 구조의 설계 원리와 합성 방법론을 개발하여, 고분자 소재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전도성, 내열성, 내화학성, 광반응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고분자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첨단 소재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합성 과정에서는 다양한 촉매 시스템과 중합 방법(예: 라디칼 중합, 축합 중합, 개환 중합 등)을 활용하여, 분자량, 분자구조, 분자내 기능기 도입 등을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또한, 액정 고분자, 블록 공중합체, 생분해성 고분자 등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며, 이들 소재의 특성 분석 및 응용 가능성 평가도 함께 진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능성 고분자 소재는 전자재료, 에너지 소재, 바이오메디컬, 환경 친화적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구조-물성-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맞춤형 고분자 소재의 설계와 대량 생산 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
고분자 복합재 및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고분자 복합재 및 나노하이브리드 소재의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매트릭스에 무기/유기 나노입자, 탄소계 필러, 금속 나노입자 등을 도입하여 복합재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고유전율, 고내열성, 고강도, 저유전 특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첨단 복합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분산 기술과 계면 제어 기술을 접목하여, 나노입자의 균일한 분산과 계면 상호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복합재의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예를 들어, 에폭시/실리카, 에폭시/카본블랙, 실리콘/퀀텀닷 등 다양한 조합의 하이브리드 소재를 개발하여, 전자소자, 디스플레이, 에너지 저장장치,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환경 친화적 복합재 개발에도 주력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와 천연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복합재,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 개발 등 지속가능한 소재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산업의 친환경화와 고기능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고분자 기반 전자·에너지 소재 및 응용
배진영 연구실은 고분자 기반의 전자 및 에너지 소재 개발에 있어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 고유전 고분자, 광반응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등 다양한 전자·에너지 소재를 설계하고, 이들의 응용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예를 들어, 리튬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태양전지용 고분자 분산제, 유연성 전자소자용 고분자 바인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 개발을 위해 고분자의 분자구조와 기능기 도입, 나노입자와의 복합화, 계면 특성 제어 등 다양한 화학적·공정적 접근법을 활용합니다. 또한, 소재의 전기적, 광학적, 열적 특성 평가와 더불어, 실제 소자 제작 및 성능 평가까지 연계하여 실용화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6G 통신용 저유전 PCB 소재, 고효율 태양전지용 분산제, 고내열성 배터리 분리막 등 차세대 전자·에너지 산업을 위한 핵심 소재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첨단 IT, 에너지, 친환경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