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WINNER Lab.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김재현 교수

WINNER Lab은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위성통신, 그리고 비지상 네트워크(NTN)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5G/6G 셀룰러 네트워크, 저궤도 위성통신, 무선랜(WLAN) 시스템, 전이중 MAC 프로토콜 등 다양한 무선 정보통신 기술의 이론적·실용적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단말 연결, 초고속·초저지연 서비스, 그리고 실시간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자원 관리 기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LTE-Advanced, LTE-Beyond, 6G 등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종단간 QoS 보장, 크로스 레이어 프로토콜 설계, 소형셀 기반 서비스, 그리고 대규모 IoT 단말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성통신 분야에서는 저궤도 위성 간 링크, 군집 위성망, 위성-지상 융합 네트워크, 핸드오버 최적화, 빔 크기 설정, 도플러 효과 보상 등 위성 환경 특유의 문제를 해결하는 첨단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강화학습 기반의 네트워크 자원 할당, 위성 빔 호핑, 핸드오버 최적화, 그리고 SAR(합성개구레이더) 데이터 처리 및 이미지 분석 등 융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위성 시스템 개발, 큐브 위성 프로젝트, 군집 위성망 설계, 시뮬레이터 개발 등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특허 및 국제 표준화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무선랜(WLAN) 및 전이중 MAC 프로토콜 분야에서는 IEEE 802.11/15 기반의 고효율 무선랜, 전이중 통신 환경에서의 MAC 프로토콜, 충돌 방지 알고리즘, RFID 시스템, 멀티홉 멀티미디어 지원 MAC 프로토콜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IoT, 군사 통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인기(UAV) 네트워크, 재난 환경, 군집 드론 등 특수 환경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 설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6G 시대의 글로벌 커버리지, 재난 대응, 군사 통신, 우주 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정보통신 기술의 경쟁력 강화와 국제 표준화 선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WINNER Lab은 무선통신 및 위성통신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미래 정보통신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