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재형 연구실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

이재형 교수

Photovoltaic Systems

Shingled Modules

Transparent Photovoltaic Devices

이재형 연구실

전자전기공학 이재형

이재형 연구실은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차세대 태양전지 및 태양광 모듈, 전기재료, 나노소재 기반 에너지 소자 개발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리콘 태양전지, 이종접합(HJT) 태양전지, 슁글드 및 양면형 모듈 등 다양한 태양광 기술을 연구하며, 고효율, 경량화, 내구성 향상 등 실질적인 산업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수상태양광, 고출력 모듈 등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의 최적화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업컨버전 나노입자, 열경화성 에폭시 복합체, 컬러 태양광 모듈 등 혁신적인 소재와 구조를 도입하여, 태양광 모듈의 성능과 디자인을 동시에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듈의 기계적 신뢰성, 음영 손실 저감, 열 해석 및 구조 해석을 통한 최적 설계 등 현장 적용을 위한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연구실은 전기재료 및 나노소재를 활용한 에너지 소자 개발에도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투명전도막, 박막 트랜지스터,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다양한 나노소재의 합성 및 특성 평가, 그리고 이를 응용한 전자·광전자 소자 개발이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플렉시블 전자소자, 저온 공정, 친환경 바이오 기반 복합체 등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소자에 적합한 소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재형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지원 과제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태양광 산업과 에너지 소재 분야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학연 협력과 인재 양성에도 힘쓰며,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전문가를 배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실의 활동은 태양광 및 에너지 소재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에너지 사회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재형 연구실은 혁신적인 연구와 실용적 기술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것입니다.

Photovoltaic Systems
Shingled Modules
Transparent Photovoltaic Devices
고효율 태양전지 및 태양광 모듈 기술
이재형 연구실은 고효율 태양전지 및 태양광 모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 이종접합(HJT) 태양전지, 슁글드(Shingled) 모듈, 양면형 모듈 등 다양한 차세대 태양광 기술을 연구하며, 태양전지의 효율 극대화와 모듈의 경량화, 내구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업컨버전 나노입자, 열경화성 에폭시 복합체, 컬러 태양광 모듈 등 혁신적인 소재와 구조를 적용하여 태양광 모듈의 성능과 디자인을 동시에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및 수상태양광 등 다양한 응용 환경에서의 고출력, 고신뢰성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모듈의 기계적 신뢰성, 음영 손실 저감, 열 해석 및 구조 해석을 통한 최적 설계 등 실질적인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내구성, 난연성, 방열성 등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재 및 공정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지원 과제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태양광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기재료 및 나노소재 기반 에너지 소자
연구실은 전기재료 및 나노소재를 활용한 에너지 소자 개발에도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투명전도막(ITO, AZO), 박막 트랜지스터, 나노복합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다양한 나노소재의 합성 및 특성 평가, 그리고 이를 응용한 전자·광전자 소자 개발이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태양전지의 전극, 패시베이션층, 반사방지막, 절연재 등 다양한 부품에 적용되어 소자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플렉시블(유연) 전자소자, 저온 공정, 친환경 바이오 기반 에폭시 복합체 등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소자에 적합한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도출하고, 실제 소자 제작 및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난연성, 기계적 강도, 절연 특성 등 실용적 특성 향상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가스절연개폐기(GIS)용 절연 스페이서, 고효율 변압기용 절연보드, 스마트 윈도우 등 다양한 에너지 및 전력전자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공정-소자-시스템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에너지 및 전자재료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1
Optimization of large-area photovoltaic module frames for lightweight design using structural analysis and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 II
김정훈, 노요한, 이재형, 정채환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2025
2
Shading-loss enhancement of high-density photovoltaic shingled module for urban building applications
김주휘, 배재성, 이재형, 정낙현
SOLAR ENERGY, 2025
3
Characteristics of Palladium Carbide Thin Films Prepared by 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Dae Yun Lim, Tae Won Ha, Yong Seob Park, Young-Baek Kim, 이재형
JOURNAL OF NANO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S, 2024
1
[RCMS]장기신뢰성(25년 이상)과 안전성이 확보된 건물형 태양광 핵심소재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4년 07월 ~ 2024년 10월
2
[RCMS]양면형 모듈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개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4년 05월 ~ 2025년 02월
3
[RCMS]반도체특성화대학원지원(성균관대학교)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년 03월 ~ 2025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