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자원 연구실

단국대학교 치의학과

조자원 교수

조자원 연구실

치의학과 조자원

조자원 연구실은 임상예방치의학을 중심으로 구강 건강 증진과 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취 등 주요 구강 질환의 원인 규명과 효과적인 예방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불소 도포, 실란트 적용, 구강 위생용품의 임상적 효과 평가 등 다양한 예방치의학적 접근을 통해 국민의 구강 건강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구강위생용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천연 추출물과 기능성 화합물을 활용한 치약, 구강청결제,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제품의 항균력, 치은염 완화, 구취 억제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체와의 협력, 건강기능식품 개발, 식약처 인증 등 실질적인 사회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구강 건강 실태조사와 예방사업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오스, 몽골 등 해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구강 건강 조사, 국내 청소년 및 노인 대상 구강보건 실태조사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사회와 국제사회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임상 및 실험 연구뿐만 아니라,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바일 앱을 활용한 구강 건강 교육, 구강보건 인력 양성 등 교육 및 정책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 결과가 실제 임상 및 지역사회에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자원 연구실은 임상예방치의학의 선도적 연구와 실용적 성과를 바탕으로, 국민과 지역사회의 구강 건강 증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와 사회적 실천을 통해 구강 건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임상예방치의학
임상예방치의학은 구강 질환의 예방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치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취 등 다양한 구강 질환의 원인과 예방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소 도포, 실란트 적용, 구강 위생용품의 효과 평가 등 다양한 임상적 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구강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시험과 실험을 통해 예방치의학의 근거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소 농도 조정사업의 효과 평가, 구강 세균막 형성 억제제의 효능 검증, 구강 내 미생물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를 통해 지역사회 구강 건강 증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실제 보건소 및 학교 구강보건사업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임상예방치의학 연구를 통해 국민의 구강 건강 수준을 높이고, 만성 구강질환의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구강위생용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구강위생용품, 특히 치약, 구강청결제, 구강 프로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과 효능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천연 추출물(녹차, 은행엽, 센텔라 등)과 기능성 화합물(불소, 피로인산나트륨, 아연 화합물 등)을 활용하여 구강 내 세균 억제, 치은염 완화, 구취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실험실 및 임상시험을 통해 각 소재의 항균력, 치아 경도 변화, 치면세균막 억제 효과 등을 과학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구강 내 미생물 환경 변화, 구취 원인 물질 감소, 치아 표면 보호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프로바이오틱스의 구강 적용 효과, 고농도 불소 치약의 치아 경도 증진 효과 등 최신 트렌드에 맞춘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개발, 구강위생용품 산업 발전, 그리고 국민 구강 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산업체 협력 제품 개발,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1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Using a Mobile App (OHEMA) on the Oral Health and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of the Elderl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조자원, 기지윤, 조세림, 조경숙, 박정은, 장종화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
2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ooth Hardness by Applying Caries Solution to Bovine Tooth and Experimental Hydroxyapatite Block
조자원, 이지원, 김다희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202409
3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ardness of Bovine Teeth According to the Use of Toothpaste High Fluorideconcentration
조자원, 박수연, 김종빈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202409
1
보건소 기반 순회 구강건강관리 매뉴얼 개발
보건복지부
2022년 07월 ~ 2022년 11월
2
2018년 구강보건의 날 행사 운영비
천안시 서북구 보건소
2018년 04월 ~ 2018년 05월
3
구취 억제 oral probiotics의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을 위한 기능성 평가와 보건식품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6년 11월 ~ 2017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