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나노구조 기반 광학 위상차 박막

DE Lab은 나노구조 form birefringence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역분산 위상차 박막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박막 증착 후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LIL)를 활용하여 나노 패터닝을 수행하고, 고굴절 나노로드를 성장시켜 구조 복굴절 특성을 갖는 박막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일 분자 기반 위상차 박막과는 차별화된, 패널 맞춤형(in-cell) 리타더 제조 기술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개선, 색상 왜곡 최소화, 반사 방지 등 다양한 광학적 성능 향상에 기여합니다. 특히, 박막 내에서의 이방성 및 Biaxiality(이축성) 제어가 가능해져,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광학 필름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DE Lab은 이 분야에서 국내외 특허와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관련 기술의 상용화 및 산업적 응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노구조 기반 위상차 박막 기술은 OLED, LCD,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DE Lab은 이러한 첨단 광학 소재 및 소자 개발을 통해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 이전 및 실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2

투명·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센서용 광전자 재료 및 소자

DE Lab은 투명하고 플렉서블한 전자소자 및 센서 개발을 위한 광전자 재료 및 소자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모든 재료를 산화물로 구성하고 모든 공정을 스퍼터링(Sputtering)으로만 진행한 투명 플렉서블 트랜지스터(a-IGZO TFT)와, 구리 나노와이어/티타늄 산화물 코어-셸 구조를 기반으로 한 신축성 웨어러블 터치 센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소자들은 반복적인 구부림과 변형에도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차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윈도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나노소재 합성, 표면공학, 박막 증착 및 패터닝, 전기적/광학적 특성 평가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고성능 투명 전극, 플렉서블 센서, 광전자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과 전기적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소재 설계와 공정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신뢰성 평가 및 대면적 공정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IoT, 헬스케어, 농업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습니다. DE Lab은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 발표, 정부 및 산업체 과제 수행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3

액정 및 나노구조 기반 광학 소자와 신기능 소재

DE Lab은 액정 및 나노구조 기반의 다양한 광학 소자와 신기능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자기조립(smectic, nematic) 액정과 반응성 메조겐을 활용한 광학 보상 필름, 복굴절 제어 소자, 위상차 필름, 광학 다이오드, 메모리 효과를 갖는 액정 소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분자 설계, 도핑, 자기조립, 박막화, 광중합 등 다양한 화학적·물리적 방법론을 융합하여 새로운 광학적 특성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액정의 이방성, 엔트로피, 위상전이, 도메인 제어 등 기초 물리 현상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 새로운 광학 소재 및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유전성-반강유전성 상전이 유도, 복굴절의 negative dispersion 구현, 분자 구조에 따른 광학 특성 조절 등은 DE Lab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스플레이, 광통신, 센서,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DE Lab은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 및 연구원의 창의적 연구 역량 강화와 글로벌 리더 양성에도 힘쓰고 있으며, 차세대 광학 소재 및 소자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