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칩연구실
기계공학부 정효일
바이오칩연구실은 미세유체공학, 나노바이오센서,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등 첨단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체외 진단 및 정밀의학 실현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혈액, 타액, 소변 등 다양한 생체유체에서 암, 감염병, 만성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바이오마커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 및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복잡한 전처리 과정 없이도 초고속으로 생체물질을 분리·농축하고, 고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액체생검 기반의 순환 바이오마커(순환종양세포, 엑소좀, cfDNA 등) 분석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여, 암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치료 반응 모니터링 등 정밀의학의 핵심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반 분석 플랫폼을 도입하여, 다중 바이오마커의 복합 신호를 통합적으로 해석하고, 암의 재발 위험, 전이 가능성, 치료 반응 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서 tdEVs의 단백체 분석을 통해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패널을 제시하였고, 실제 임상 샘플에서 높은 진단 성능을 입증하였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모바일 기기 연동 센서 기반의 현장 진단 시스템, 환경 유해물질 검출용 미세유체 기반 센서, 인공엑소좀 생산 및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환경, 보건, 법과학, 웰니스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다기능 바이오칩 플랫폼을 개발하여,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진단 및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창업(더다봄), 산학협력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바이오칩연구실은 혁신적인 미세유체 및 바이오센서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정밀의학, 공중보건 증진, 환경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Microfluidic Chip
Extracellular Vesicles
Liquid Biopsy
미세유체칩 및 바이오센서 기반 체외 진단 기술
바이오칩연구실은 미세유체칩과 바이오센서 기술을 융합하여 체외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세유체칩은 혈액, 타액, 소변 등 다양한 생체유체에서 암, 감염병, 만성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바이오마커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나노바이오센서와 결합된 미세유체칩은 기존의 복잡한 전처리 과정 없이도 초고속으로 생체물질을 분리·농축하고, 고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전통적인 진단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정밀의학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중음성유방암(TNBC) 환자의 혈액에서 종양 유래 엑소좀(tdEVs)을 분리·분석하여 재발 위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하였으며,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해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현장 진단이 가능한 모바일 연동 센서 시스템, 환경 유해물질 검출용 미세유체 기반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미세유체칩 및 바이오센서 기반 체외 진단 기술은 진단의 신속성, 정확성, 휴대성, 자동화 측면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암, 감염병, 환경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액체생검 및 순환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한 정밀의학
바이오칩연구실은 액체생검 기반의 순환 바이오마커(순환종양세포, 엑소좀, cfDNA 등) 분석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액체생검은 혈액 등 체액에서 암세포 유래의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비침습적으로 추출·분석하여, 암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치료 반응 모니터링 등 정밀의학의 핵심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세유체칩을 이용해 극소량의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CTC)와 종양 유래 엑소좀을 고효율로 분리·정제하고, 이들의 단백질, miRNA, DNA 등 분자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반 분석 플랫폼을 도입하여, 다중 바이오마커의 복합 신호를 통합적으로 해석하고, 암의 재발 위험, 전이 가능성, 치료 반응 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서 tdEVs의 단백체 분석을 통해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패널을 제시하였고, 실제 임상 샘플에서 높은 진단 성능(AUC 0.986)을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암종 및 질환에 적용 가능한 범용 액체생검 플랫폼을 구축하고, 환경 유해물질, 감염성 질환 등으로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액체생검 및 순환 바이오마커 분석 기술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조기 진단, 예후 평가 등 정밀의학의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임상 현장 적용을 위한 자동화, 고속화, 고감도화 연구를 지속하여, 미래 의료 패러다임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1
Circulating miR-122-5p and miR-375 as Potential Biomarkers for Bone Mass Recovery after Para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 Proof-of-Concept Study
Seunghyun Lee1, Namki Hong, Yongnyun Kim, Sunyoung Park, Kyoung-Jin Kim, Jongju Jeong, Hyo-Il Jung, Yumie Rhee*
Diagnostics, 1970
2
Multi-miRNAs panel of tumor-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promising diagnostic biomarkers of early-stage breast cancer
Min Woo Kim1, Sunyoung Park1, Hyojung Lee, Hogyeong Gwak, Kyung-A Hyun, Jee Ye Kim, Hyo-Il Jung*, and Seung Il Kim*
Cancer Science, 1970
3
Microfluidic recapitula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neutrophil clusters via double spiral channel-induced deterministic encapsulation
Junhyun Park1, Sunyoung Park, Kyung-A Hyun*, and Hyo-Il Jung*
Lab on a Chip (HOT Articles), 1970
1
[통합이지바로/RS/주관] 항암방사선 유발 염증성 질환 재생 치료를 위한 인공엑소좀 기술 개발(1/2단계)(1/2)
2
[통합이지바로] 암 전이 모사 바이오 칩을 이용한 순환종양세포-종양내피세포 클러스터의 전이 메커니즘 분석(1/1단계)(1/2)
3
(통합Ezbaro)액체 생검 기반 환자 맞춤형 항암약물 감수성 평가 플랫폼 기술(4/5)(2021.6.1~2026.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