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Quantum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전기및전자공학부 최성율 교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퀀텀소재및소자연구실(Quantum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은 2차원 소재(그래핀,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 등)와 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전자소자, 뉴로모픽 소자, 유연/신축성 전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등 첨단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대면적 고품질 2D 소재의 합성, 계면공학, 이종접합, 도핑 및 전이 기술 등 소재-소자-시스템 전주기 연구를 통해 미래 정보 및 에너지 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핀 및 다양한 2D 소재의 대량생산과 고신뢰성 소자 집적을 위한 화학기상증착(CVD), 계면공학, 고유전율 절연막 적층, 저온 공정 등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저전력·고성능 트랜지스터, 논리 및 메모리 소자, 광센서, 포토디텍터, 유연/투명 전극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2D 소재 기반의 인공 시냅스, 멤리스터, 뉴런 소자 등 뉴로모픽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차세대 인공지능 시스템의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간 친화적 전자기기 구현을 위한 유연/신축성 소자, 차세대 3D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바이오 융합 전자 등 미래형 융합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KAIST-Hansol 첨단소재·소자 연구센터, 3D 디스플레이 첨단소재발견센터, 그래핀/2D 소재 연구센터 등 대형 융합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 혁신과 산업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본 연구실은 친환경 소재, 저에너지 공정, 바이오 소재 등 지속가능한 미래 전자기기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다학제적 융합 연구와 첨단 소재·소자·시스템 통합 역량을 바탕으로, 국가 및 글로벌 연구 허브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수의 세계적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국제 컨퍼런스 발표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KAIST의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 총리상, 장관상, 융합연구상 등 다양한 수상 실적으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2D 소재 및 소자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서, 첨단 정보·에너지·바이오 융합기술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선도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