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Kwak_Lab – Lab of Cellular Precision & Plant Developmen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곽준명 교수

Environmental Cues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Genetic and Epigenetic Modulation

Kwak_Lab – Lab of Cellular Precision & Plant Development

생명과학과 곽준명

곽준명 교수 연구실은 식물 발달의 세포 정밀성과 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의 성장, 노화, 세포사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 그룹입니다. 본 연구실은 식물의 기관 분리(abscission)와 표면 무결성 유지, 그리고 세포 운명 결정 과정에서의 정교한 분자 및 세포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아라비도프시스와 같은 모델 식물을 활용하여, 탈리 부위에서의 세포 간 상호작용, 리그닌 형성, 표피세포의 신규 형성 등 기관 분리의 핵심 원리를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경 스트레스(가뭄, 염분, 온도 등)와 호르몬 신호(ABA, SA 등)가 식물의 성장, 노화,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을 다학제적 접근법으로 분석합니다. 시스템 생물학, 유전학, 세포 및 분자생물학,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등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의 적응 및 생존 전략을 해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공의 신호전달 네트워크, 칼슘 신호, ROS 생성, MAPK 및 다양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며, 세포 내 신호전달과 유전자 발현 조절의 상호작용을 규명합니다. 최근에는 세포 운명 전환(transdifferentiation)과 표피세포의 신규 형성, 그리고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이 식물의 표면 보호와 병원체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MYB74와 같은 전사인자가 탈리 부위의 세포 운명 전환을 유도하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들이 선행적으로 활성화되어 식물의 생존을 돕는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상처 치유와는 차별화된 식물만의 독특한 표면 보호 전략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다수의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특허, 그리고 국내외 학회 발표를 통해 인정받고 있으며, 농업 생산성 향상, 작물의 수확 후 품질 유지, 병해 저항성 증진 등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도 높습니다. 또한, 세포 간 신호전달, 세포벽 재구성, 세포 운명 결정 등 식물 발달생물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며, 관련 기술의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곽준명 교수 연구실은 앞으로도 식물 발달과 환경 적응의 정밀 조절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탐구하여, 식물 생명과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농업 및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Environmental Cues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Genetic and Epigenetic Modulation
식물 기관 분리와 표면 무결성 조절 메커니즘
본 연구실은 식물의 기관 분리(abscission) 과정과 그 과정에서 표면 무결성이 어떻게 유지되는지에 대한 세포 및 분자 수준의 정밀한 조절 메커니즘을 탐구합니다. 식물은 환경 변화와 발달 신호에 따라 잎, 꽃, 열매 등 다양한 기관을 분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세포 간의 정교한 상호작용과 세포벽의 재구성이 필수적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라비도프시스 꽃의 탈리 부위에서 인접한 두 세포 유형이 협력하여 정확한 분리를 유도하며, 리그닌과 같은 세포벽 성분이 기계적 '브레이스' 역할을 하여 분리 부위의 정밀성을 보장함을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세포의 운명 전환(transdifferentiation)과 표피세포의 신규 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표면 보호막인 큐티클의 형성 또한 식물의 생존과 병원체 저항성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MYB74와 같은 전사인자가 탈리 부위의 비표피 세포를 표피세포로 전환시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들이 선행적으로 발현되어 환경 노출로부터 식물을 보호합니다. 이러한 세포 수준의 조절은 기존의 상처 치유와는 다른, 식물만의 독특한 표면 보호 전략임을 규명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식물 기관 분리의 정밀한 조절 원리를 밝힘으로써, 낙화 및 낙과 조절, 작물의 수확 후 품질 유지, 병해 저항성 증진 등 농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세포 간 신호전달, 세포벽 재구성, 세포 운명 결정 등 식물 발달생물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며, 관련 특허 및 기술 이전을 통해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 성장, 노화 및 세포사 조절의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
본 연구실은 환경 변화가 식물의 성장, 노화, 세포사(cell death) 및 세포 성장에서 세포사로의 전환(metamorphosis)에 미치는 영향을 다학제적 접근법으로 연구합니다. 시스템 수준의 분석, 유전학,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스트레스(가뭄, 염분, 온도 등)와 호르몬 신호(특히 ABA, SA 등)가 식물의 생리적 반응과 발달 프로그램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합니다. 대표적으로, 기공(guard cell)의 신호전달 네트워크와 세포 내 칼슘 신호,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MAPK 및 다양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ingle-cell RNA-seq)을 통해 세포 운명 결정과 발달 단계별 유전자 네트워크를 해독하고, 환경 신호에 따른 전사체 역동성 및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의 노화와 세포사 과정에서 칼모듈린, RPK1, RbohF 등 신호전달 단백질의 상호작용과 피드백 루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수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의 환경 적응력 강화, 스트레스 내성 작물 개발, 노화 조절 및 수명 연장 등 실질적인 농업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시스템 생물학적 데이터와 유전자 기능 해석을 결합하여, 식물의 복잡한 신호 네트워크와 발달 프로그램의 원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1
MYB74 transcription factor guides de novo specification of epidermal cells in the abscission zone of Arabidopsis.
X Wen, CW Lee, S Kim, JU Hwang, YH Choi, S-K Han, E Lee, TH Yoon, DG Cha, S Lee, H Son, J Son, SH Jung, J Lee, H Lim, H Chen, JK Kim, JM Kwak
Nature Plants, 2025
2
The single RRM domain-containing protein SARP1 is required for establishment of the separation zone in Arabidopsis.
J Yun, I Lee, JH Lee, S Kim, SH Jung, SA Oh, J Lee, SK Park, M-S Soh, Y Lee, JM Kwak
New Phytol., 2024
3
Transcriptomic dynamics of ABA response in Brassica napus guard cells.
F Villiers, Y Suhail, J Lee, F Hauser, JU Hwang, JS Bader, JK Mckay, SC Peck, JI Schroeder, JM Kwak
Stress Biology, 2024
1
(손지원)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꽃자루 마디의 세포 정체성 및 기능적 특성 규명
(신)한국연구재단(통합)
2025년 03월 ~ 2025년 08월
2
식물 발달의 세포 정밀성 해독 연구
(신)한국연구재단(통합)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세포운명 조절과 재조정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