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임교빈 연구실

수원대학교 화학공학,신소재공학부

임교빈 교수

Thermodynamics

Mass Transfer

Recrystallization

임교빈 연구실

화학공학,신소재공학부 임교빈

임교빈 연구실은 화학공학·신소재공학부 소속으로,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분리공정 및 신소재 개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높은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주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친환경 용매를 활용한 천연물 추출, 기능성 소재의 분리·정제, 고분자 및 바이오 소재의 미세입자화 등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초임계 유체 공정을 기반으로 한 고순도 항산화 추출물, 천연 미백 성분, 식물성 오일 등 고부가가치 소재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와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전달시스템(DDS)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항암제, 항진균제, 펩타이드 등 다양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세입자 및 나노입자 제조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초임계 유체 공정의 공정 변수 최적화, 입자 크기 및 형태 제어, 잔류 용매 최소화 등 실제 산업 적용에 필요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신소재 생산, 고순도 기능성 소재 개발, 의약품의 효능 증대 및 부작용 최소화 등 사회적·산업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임교빈 교수와 연구진은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꾸준히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학회 활동을 통해 연구실의 위상을 높이고,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교빈 연구실은 초임계 유체 기반의 분리공정 및 신소재 개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약물전달시스템 등 첨단 화학공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혁신적인 기술로 산업 발전과 인류 복지 증진에 기여할 것입니다.

Thermodynamics
Mass Transfer
Recrystallization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분리공정 및 응용
임교빈 연구실은 초임계 유체, 특히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다양한 분리공정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초임계 유체는 액체와 기체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기존의 용매 기반 분리공정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천연물 추출, 약물의 미세입자화, 고분자 및 바이오 소재의 정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조합하여 항산화 물질, 천연 미백 성분, 식물성 오일 등 고부가가치 소재를 효과적으로 분리·정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정 변수의 최적화, 추출 효율의 극대화, 잔류 용매의 최소화 등 실용화에 필요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관련 특허와 기술이전 사례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분리공정 연구는 환경친화적 공정 개발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며, 기존 화학공정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앞으로도 초임계 유체 기반의 분리공정 기술을 고도화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신소재 생산 및 고순도 기능성 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임교빈 연구실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이를 활용한 약물전달시스템(DDS) 개발에도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폴리락타이드(PLA), 폴리글리콜라이드(PGA), PLGA 등 생분해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미세입자 및 나노입자 제조 기술을 개발하여, 약물의 방출 제어와 생체이용률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초임계 유체 공정을 적용하여, 기존 용매 기반 공정의 한계(잔류용매, 입자 크기 제어의 어려움 등)를 극복하고, 고품질의 약물전달용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특히, 항암제, 항진균제, 펩타이드 등 다양한 약물을 생분해성 고분자에 봉입하여 서방성 방출 특성을 구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와의 복합화, 블록공중합체의 활용 등 다양한 고분자 설계 전략을 통해 약물의 안정성, 방출 속도, 생체적합성 등 핵심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약품의 효능 증대와 부작용 최소화, 환자 순응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약물전달시스템의 제조 공정 최적화, 입자 특성 분석, 방출 특성 평가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실제 산업적 응용을 위한 기술이전 및 특허 출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DDS 기술을 고도화하여,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및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Preparation of itraconazole/HP-beta-CD inclusion complexes using supercritical 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and their dissolution characteristics
이상윤, 정인일, 임교빈, 김정규, 유종훈
JOURNAL OF SUPERCRITICAL FLUIDS, 200804
2
Functional periplasmic secretion of organophosphorous hydrolase using the twin-arginine translocation pathway in Escherichia coli
Journal of Biotechnology, 200509
3
Hydroxypropyl-β-cyclodextrin 포접복합체 제조를 위한 초임계유체 공정 연구
임교빈, 유종훈, 김우식, 이상윤, 김정규
화학공학, 200502
1
민간 식의약 안전기술 촉진지원 기획연구 : 융복합 의료제품 (3)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년 02월 ~ 2020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