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경 연구실
기초공학부 김유경
김유경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와 신뢰성 평가, 서비스지향 아키텍처(SOA) 및 웹서비스 신뢰성,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및 IoT 환경에서의 신뢰 평가 모델 개발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를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과정에서 품질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고,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지표와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완성도, 결함률, 개발 기간 예측 등 실질적인 품질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지향 아키텍처와 웹서비스 분야에서는 서비스 식별, 입도 결정, 동적 서비스 조합에서의 신뢰성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이기종 환경에서의 서비스 연동과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 평가 모델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선택과 품질 보증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 및 공공기관의 IT 시스템 구축과 유지보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와 IoT 환경에서의 신뢰 평가 모델 개발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SNS에서의 정보 신뢰성 평가, IoT 환경에서의 M2M 서비스 신뢰 평가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정보의 신뢰성 문제와 사용자 간 신뢰 관계 분석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신뢰 형성, 정보의 투명성 확보, 안전한 서비스 이용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과 연계된 실용적인 연구를 지향합니다. 다양한 학술지 논문, 국제 학회 발표, 산학 협력 프로젝트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산시키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품질과 신뢰성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유경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서비스 신뢰성, 정보 신뢰성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Trust Management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QoS-aware Service Selection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및 신뢰성 평가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과정에서 품질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고,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완성도 평가, 결함률 산정, 개발 기간 예측 등 다양한 품질 평가 지표와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평가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신뢰성 평가는 단순히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완성도를 넘어서,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신뢰도와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메트릭스와 평가 기준을 도입하고, 사용자 피드백과 실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뢰성 평가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복잡도와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품질 평가 방법을 연구하여,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품질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와 신뢰성 평가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실질적인 품질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론을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
서비스지향 아키텍처(SOA) 및 웹서비스 신뢰성
서비스지향 아키텍처(SOA)와 웹서비스는 현대 IT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SOA 기반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식별, 적절한 서비스 입도 결정, 그리고 동적 서비스 조합에서의 신뢰성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기종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상호 연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 평가 모델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웹서비스의 신뢰성 평가는 단일 서비스뿐만 아니라, 여러 서비스가 조합되어 동작하는 복합 서비스 환경에서 더욱 중요해집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서비스 간의 실행 시간 의존성, QoS(서비스 품질) 기반의 신뢰성 평가, 사용자 피드백을 활용한 신뢰도 산정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실제 IoT 및 M2M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모델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의 서비스 기반 시스템 구축, 유지보수, 그리고 서비스 품질 보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SOA 및 웹서비스 신뢰성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과 실무적 적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및 IoT 환경에서의 신뢰 평가 모델
현대 사회에서 소셜 네트워크와 IoT(사물인터넷) 환경은 정보의 생산과 유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공간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환경에서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사용자 간 신뢰 관계를 분석하는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NS에서의 정보 신뢰성 문제, IoT 환경에서의 M2M(Machine-to-Machine) 서비스 신뢰 평가 등은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SNS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신뢰지수(KTI) 설계, 사용자 행동 분석을 통한 신뢰 요인 도출, 그리고 정보 흐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 평가 모델 등이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IoT 환경에서는 이기종 장치 간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간 신뢰 관계와 QoS 예측을 결합한 새로운 신뢰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악의적 사용자나 오작동 서비스로 인한 보안 문제를 예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와 같은 신뢰 평가 모델은 사회적 신뢰 형성, 정보의 투명성 확보, 그리고 안전한 서비스 이용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소셜 네트워크와 IoT 환경에서의 신뢰성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미래 정보사회에서의 신뢰 기반 서비스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1
Use-case driven service modelling with XML-based tailoring for SOA
Kim, Y (Kim, Yukyong), Doh, KG (Doh, Kyung-Goo)
INTERNATIONAL JOURNAL OF WEB AND GRID SERVICES, 2013
2
A Trust Management Model for QoS-Based Service Selection
김유경, 도경구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012
3
Pragmatic granularity decision for right-grained services in service-oriented modelling
Kim, Y., Doh, K.-G.
International Journal of Web and Grid Services,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