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용민 연구실

서경대학교 나노화학생명공학과

조용민 교수

조용민 연구실

나노화학생명공학과 조용민

조용민 연구실은 나노화학생명공학과를 기반으로 환경보건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들의 환경노출과 건강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환경보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단지, 폐기물 재활용시설, 금속광산 인근 등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환경노출 실태와 건강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바이오모니터링과 바이오마커 개발을 통해 인체 내 환경오염물질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노출과 건강영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합니다. 고성능 질량분석기 기반의 다중요소 동시분석법 개발, 표준물질 제조 및 검증,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프로그램 지원 등 환경보건 연구의 기초 인프라 구축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마커 연구정보 웹사이트 구축 등 디지털 환경보건 연구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실내외 환경유해인자(곰팡이, 미세먼지, 라돈, 프탈레이트 등)에 대한 노출이 아동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어린이 활동공간, 학교, 주택 등 생활환경에서의 유해인자 노출 실태를 조사하고, 알레르기 질환 및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아동과 취약계층의 건강권 증진과 환경보건 형평성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환경산업기술원 등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대규모 환경보건 조사사업, 환경노출 저감 정책, 건강영향 예방 프로그램 개발 등 실질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보건 취약계층의 건강불평등 해소, 환경정의 실현, 환경보건 정책의 사각지대 해소 등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조용민 연구실은 환경노출 및 건강영향 평가, 바이오모니터링, 환경유해인자 관리 등 환경보건 분야의 첨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안전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환경보건 취약지역의 환경노출 및 건강영향 평가
조용민 연구실은 환경보건 취약지역 주민들의 환경노출과 그로 인한 건강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단지, 폐기물 재활용시설, 금속광산 인근 등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노출되는 다양한 유해물질(중금속, 미세먼지, 프탈레이트 등)의 수준을 평가하고, 이로 인한 건강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합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건강영향조사, 바이오모니터링, 환경노출 시나리오 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국내외 환경보건 정책 변화와 맞물려, 환경보건법 시행 이후 환경오염 취약지역에 대한 건강영향조사가 증가하는 추세에 발맞추어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환경노출 평가와 건강영향 분석을 위해 최신 분석기술과 통계기법을 도입하고, 행정구역 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바이오마커 기반의 노출평가 등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합니다. 이를 통해 환경오염에 취약한 저소득층, 장애인, 아동 등 사회적 약자의 건강불평등 문제도 함께 조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보건 취약지역 주민의 건강권 보장과 환경정의 실현에 기여하며, 향후 환경보건 정책 수립 및 개선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환경보건 조사사업, 환경노출 저감 정책, 건강영향 예방 프로그램 개발 등 실질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환경 바이오모니터링 및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실은 환경노출 및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바이오모니터링과 바이오마커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바이오모니터링은 인체 내 체액(혈액, 소변 등)에서 중금속, 프탈레이트, 미세플라스틱 등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실제 노출 수준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연구실에서는 고성능 질량분석기(ICP-MS, LC-MS 등)를 활용한 다중요소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 분석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법 개발, 혈중 및 소변 중 중금속 분석 숙련도 시험, 표준물질 제조 및 검증 등 환경보건 분야의 기초 인프라 구축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마커를 활용하여 환경노출과 건강영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취약계층의 건강위험 평가에 적용함으로써 환경보건 연구의 과학적 타당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모니터링 연구는 환경노출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건강영향을 조기에 예측·진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은 바이오마커 연구정보 웹사이트 구축, 대규모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디지털 기반의 환경보건 연구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경노출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표준화, 빅데이터 기반의 건강영향 예측모델 개발 등 첨단 환경보건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실내외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아동·취약계층 건강
조용민 연구실은 실내외 환경유해인자(곰팡이, 미세먼지, 라돈, 프탈레이트 등)에 대한 노출이 아동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활동공간, 주택, 학교 등 생활환경에서의 유해인자 노출 실태를 조사하고, 알레르기 질환(천식, 아토피피부염 등)과의 연관성을 분석합니다. DNA 기반 곰팡이 평가기법, ERMI 지수, 실내공기질 측정 등 다양한 환경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실내환경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의 미충족 의료 문제, 환경노출에 따른 건강불평등, 환경보건 정책의 사각지대 해소 등 사회적 이슈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합니다. 대규모 설문조사, 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등 국가 단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건강영향의 사회경제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아동과 취약계층의 건강권 증진, 환경보건 형평성 실현, 실내외 환경개선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아토피 예방관리 프로그램, 실내환경 개선사업 등 실질적인 건강증진 활동으로 연계하고 있습니다.
1
Effects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on human health: A literature review of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applied to exposure assessment
Cho Y., Ryu S.-H., Lee B.R., Kim K.H., Lee E., Choi J.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015
2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findings from the pilot study of the Korean Surveillance System for Childhood Asthma
Cho, YM, Ryu, SH, Choi, MS, Tinyami, ET, Seo, S, Choung, JT, Choi, JW
JOURNAL OF ASTHMA, 201405
3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xposure in residents living near a cement factory with kilns
Cho Y.M., Kim G.-B., Cho Y.-S., Choi M.S., Ryu S.-H., Choi S.H., Park Y.-K., Choi J.W.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14
1
2024년 경기도 환경보건 기초조사 연구용역
경기도
2024년 07월 ~ 2024년 12월
2
2단계 일반산단 주변지역 환경보건평가 -시범조사(Ⅱ)-
국립환경과학원
2024년 03월 ~ 2024년 11월
3
(2단계2연차)환경보건 취약지역의 환경노출과 건강영향 바이오마커 도출을 위한 근거기반 연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