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화학공학부
화학공학과 이윤성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핵심인 이차전지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리튬 이온 전지를 비롯하여 나트륨 이온 전지, 포타슘 이온 전지, 슈퍼커패시터,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등 다양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의 소재 개발과 시스템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전극 소재의 구조적·화학적 특성 제어, 표면 코팅 및 도핑, 나노구조화, 고체 전해질 개발 등 첨단 소재 합성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고안정성 에너지 저장 장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리튬 이온 전지의 고용량·고출력·장수명화를 위한 양극 및 음극 소재 개발, 고전압 스피넬 및 올리빈계 소재, 나시콘계 고체 전해질 등 다양한 차세대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고체 전지, 리튬-황 전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등 미래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 표면 개질, 이종 원소 도핑, 나노복합화 등 다양한 합성법을 적용하여 전지의 에너지 밀도, 출력 특성, 내구성, 열적 안정성 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을 위해 폐전지의 자원순환 및 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용 후 폐기되는 리튬 이온 전지로부터 유가 금속 및 그래파이트 등 핵심 소재를 회수·재생하여, 새로운 전지 및 커패시터의 소재로 활용하는 '폐기물-자원-에너지'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보전과 자원 효율성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분야에서는 활성탄, 귀금속 산화물, 그래핀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대용량·고출력 커패시터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소재의 비표면적 증대, 표면 개질, 복합화 등 다양한 혁신적 접근을 통해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와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나트륨/포타슘 이온 전지 등 리튬 대체 차세대 전지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여,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합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실의 다양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국제 학회 발표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 에너지 산업의 혁신과 지속가능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소재 과학과 전기화학 기술을 융합하여,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Lithium-ion Batteries
Solid Electrolytes
Sodium Hybrid Capacitors
리튬 이온 전지 및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개발
리튬 이온 전지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 휴대용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리튬 이온 전지의 핵심인 양극 및 음극 소재의 구조적·화학적 특성 개선을 통해 고용량, 고출력, 장수명 전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메커니즘, 전극 소재의 결정구조 제어, 표면 코팅 및 도핑 기술을 활용하여 전지의 열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전압 스피넬, 올리빈계, 나시콘계 등 다양한 구조의 리튬 기반 소재뿐만 아니라,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소재, 리튬-황 전지 등 차세대 이차전지 시스템에도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전극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 나노구조화, 표면 개질, 이종 원소 도핑 등 첨단 합성법을 적용하여 전지의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이와 더불어, 사용 후 폐기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자원순환 및 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폐전지로부터 유가 금속 및 그래파이트 등 핵심 소재를 회수·재생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에너지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및 나트륨/포타슘 이온 전지 연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는 리튬 이온 전지와 슈퍼커패시터의 장점을 결합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빠른 충·방전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활성탄, 금속 산화물, 그래핀 등 다양한 전극 소재를 활용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용량 및 수명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활성탄의 비표면적 증대, 귀금속 산화물의 도입, 표면 개질 등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개선을 통해 대용량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튬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나트륨 이온 전지(SIB), 포타슘 이온 전지(KIB) 등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나트륨 및 포타슘은 지구상에 풍부하고 저렴한 자원으로,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합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트륨/포타슘 이온 전지용 양극·음극 소재의 합성, 전해질 개발, 계면 안정화, 전극 구조 최적화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고성능·고안정성 전지 구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폐 리튬 이온 전지에서 회수한 그래파이트를 나트륨/포타슘 이온 전지의 음극 소재로 재활용하는 기술, 인공 SEI(고체 전해질 계면) 층 형성, 전극 표면 코팅 및 도핑 등 다양한 혁신적 접근을 통해 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경제성, 친환경성, 대용량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Upcycling graphite from spent Li-ion battery with SiOx via Mechano-chemical Process as next-generation anode for Li-ion capacitors
Vanchiappan Aravindan, Lee Yun-Sung, Akshay Manohar, Mani Ulaganathan
ChemSusChem, 2024.12
2
Investigation of Zr doping and Electrochemical study on Li1+xTa1-xZrxSiO5 (x = 0 - 0.3)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Ion Battery
Yeong-A Kim, Ramkumar Balasubramaniam, Vanchiappan Aravindan, Sangho Park, Yun-Sung Lee
J. Electrochem. Sci.& Tech., 1970
3
The trifunctional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hierarchical structured porous carbon derived from environmentally malignant Prosopis juliflora
Sathyanarayanan Shanmugapriya, Mariappan Ganeshbabu, Subramani Surendran, Yun Sung Lee, Ramakrishnan Kalai Selvan
Carbon Trends, 2024.12
2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과제(에너지 융복합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
3
[IRIS]소재 합성법 최적화를 통한 신규 산화물계 리튬 초이온전도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