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인간-기계 시스템 및 인간공학
이유신 연구실은 인간-기계 시스템의 설계와 평가, 그리고 인간공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간-기계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계나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산업 현장, 모빌리티, 가상현실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특히, 전동 킥보드, 차량 내 음성 에이전트, 대형 모바일 기기 등 실제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과 시스템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실험과 평가를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전동 킥보드의 핸들 높이와 주행 자세, 가상현실 내 이동 방법, 스마트폰의 곡면 디스플레이 설계 등에서 사용자의 신체적 피로도, 편안함, 사용성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실험실 기반의 시뮬레이터, 센서 기반 측정, 설문 및 행동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성 향상, 사용자 경험 개선, 그리고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또한, 연구 결과는 국가 표준 가이드라인, 산업체 설계 기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인간 중심의 시스템 설계와 평가를 통해 미래 산업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2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경험 연구
연구실은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UX)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이동 방법, HMD 착용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혼합현실에서의 상호작용 방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실제 사용자 실험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예를 들어, 제자리 걸음 기반의 가상현실 이동 방법 개발, 다양한 방향 이동이 가능한 VR 내비게이션 기술, 그리고 VR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인간 중심 인터페이스 개발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UI)의 장애인 수용성 연구,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 해양 통신, 챗봇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AI와 HCI(Human-Computer Interaction)가 융합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과 교육, 의료, 서비스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 UX 연구는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 방식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첨단 기술과 인간공학의 융합을 통해 더욱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창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