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이경근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이경근
세종대학교 이경근 교수 연구실은 차세대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 기술인 Mobile IP, Cognitive Radio, Smart NMS, Traffic Engineering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미래 지능형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Mobile IP 및 이동성 관리 기술은 다양한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자유로운 이동성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빠른 핸드오버, 경로 최적화, 부하 분산 등 실질적인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과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폰, IoT, 스마트 빌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받고 있습니다.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및 스마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Smart NMS) 분야에서는 스펙트럼 자원의 효율적 활용,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 장애 대응, 원격 제어 등 네트워크 운영의 지능화와 효율화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채널 예측, 자원 할당, 에너지 효율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 시티, 스마트 빌딩 등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에너지 효율적 네트워크 설계 역시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축입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지연 최소화, 대역폭 활용 극대화, 에너지 하베스팅, 저전력 통신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적인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협력, 정부 과제, 특허 출원 등 다양한 외부 활동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상용화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선도적 연구와 더불어, 글로벌 ICT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5G Communication
P2P Networks
Energy Harvesting
Mobile IP 기반의 차세대 이동성 관리 기술
Mobile IP는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를 이동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Mobile IPv6, Proxy Mobile IPv6(PMIPv6) 등 다양한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을 연구하며, 빠른 핸드오버와 네트워크 부하 분산, 경로 최적화 등 실질적인 네트워크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멀티캐스트 기반의 핸드오버, 가상 도메인을 활용한 MAP 전환, 패킷 캐싱 등 다양한 혁신적 기법을 개발하여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연, 패킷 손실, 서비스 중단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동성 관리 기술은 스마트폰, IoT 기기, 스마트 빌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시간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스마트 NMS와의 연계, 다양한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성 지원 등 실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인증, 주소 변환, 통신 중계 등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핵심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설계하여, 차세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다수의 논문 발표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의 상용화 및 실용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5G, 6G 등 미래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이동성 관리 기술 개발에 앞장서며,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 발전에 이바지할 계획입니다.
Cognitive Radio 및 스마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Smart NMS)
Cognitive Radio(인지 무선)는 제한된 무선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본 연구실은 인지 무선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할당, 자원 관리, 에너지 효율화, QoS 보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채널 상태 예측, 스펙트럼 센싱,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최적 자원 할당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IoT,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대규모 이기종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NMS(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는 네트워크의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 장애 감지 및 대응, 원격 제어 등 네트워크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본 연구실은 스마트폰, 센서, 무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합한 u-NMS, 스마트 NMS 에이전트, 이동성 관리 서버 등 차별화된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의 편의성 증대와 함께,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네트워크의 안정적 운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산업 현장 등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을 목표로 하며, 관련 특허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의 실용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인지 무선과 스마트 네트워크 관리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 지능형 네트워크의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Traffic Engineering 및 에너지 효율적 네트워크 설계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분배와 최적화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동통신, 위성통신, IoT 네트워크 등 다양한 환경에서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지연 최소화, 대역폭 활용 극대화 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적이고 분산된 자원 할당, 파워 제어, 클러스터링, 멀티캐스트 기반 트래픽 분산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성은 현대 네트워크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본 연구실은 에너지 하베스팅, 저전력 통신, 에너지 최적화 알고리즘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협력 통신,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최소화, 분산형 파워 할당 등 혁신적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등 실제 응용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적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IEEE, Springer 등 국제 저널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관련 특허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 기술 이전과 상용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에너지 효율화의 융합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의 고도화와 친환경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앞장설 것입니다.
1
A Compact and Flexible UHF RFID Tag Antenna for Massive IoT Devices in 5G System
이경근, Hussain, Muhammad
Sensors, 202010
2
Overall Energy Minimization in the Wireless Peer DiscoverySystem With Multi-Antenna Peers
이경근, Mateen Ashraf
Ieee Communications Letters, 201910
3
Outage Probability Analysis for Energy Harvesting Cooperative Relays in a Clustered Environment
이경근, ASHRAF MATEEN
MOBILE NETWORKS APPLICATIONS, 201810
1
스마트 빌딩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센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효율적인 전송 및 사용자 인터랙티브한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의 설계(4차년도)
2
스마트 빌딩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센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효율적인 전송 및 사용자 인터랙티브한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의 설계(3차년도)
3
스마트 빌딩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센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효율적인 전송 및 사용자 인터랙티브한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의 설계(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