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송기창 연구실

건양대학교 의료신소재학과

송기창 교수

송기창 연구실

의료신소재학과 송기창

송기창 연구실은 의료신소재학과를 기반으로 계면/표면공학 및 바이오 융합 신소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졸-겔, 화학환원, 음향화학 등 다양한 합성 및 표면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소재의 표면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능성 코팅 및 복합재료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수성, 친수성, 항균성, 내마모성, 광변색성 등 다양한 표면 기능을 구현하며, 디스플레이, 의료기기, 건축자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한 고기능성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용 신소재 개발에 있어서는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복합재료를 활용하여 인공수정체, 스텐트, 약물전달 시스템 등 첨단 의료기기용 소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인공수정체의 반짝임 저감, 항균 및 항염 기능의 표면 코팅, 약물 방출 제어가 가능한 필름 및 미소구체 개발 등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기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섬유, 현무암 섬유 등과의 복합화를 통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계면 결합력 및 역학적 특성 향상, 고굴절 하드코팅, 청색광 차단 코팅, 항바이러스 필터 및 마스크 등 다양한 산업용 신소재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SCI급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며, 학계 및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정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실용화 및 상용화에 중점을 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고성능, 고내구성, 친환경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송기창 연구실은 앞으로도 계면/표면공학과 바이오 융합 신소재 분야에서 혁신적 연구를 지속하여, 의료 및 산업 현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세계적 연구 거점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계면/표면공학 기반 기능성 코팅 및 복합재료 개발
계면/표면공학은 다양한 소재의 표면 특성을 제어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학문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등 무기 나노입자와 유기 고분자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코팅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졸-겔(sol-gel) 공정, 화학환원법, 음향화학법 등 다양한 합성 및 표면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코팅막의 소수성, 친수성, 항균성, 내마모성, 광변색성 등 다양한 표면 특성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스플레이, 의료기기, 건축자재, 산업용 필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UV 경화형 하드코팅, 항균 및 김서림 방지 코팅, 고굴절 하드코팅, 청색광 차단 코팅 등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기능성 표면 기술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또한, 탄소섬유, 현무암 섬유 등과의 복합화를 통해 시멘트 모르타르의 계면 결합력과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계면/표면공학 연구는 소재의 미세구조와 표면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설계와 실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성능, 고내구성,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차세대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을 다수 발표하여 학계 및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의료용 신소재 및 바이오 융합 소재 연구
의료신소재 분야에서 본 연구실은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항균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소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IOL) 소재의 반짝임(glistening) 현상 저감, 양쪽성 고분자 코팅을 통한 후발성 백내장 예방,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스텐트 및 약물전달 시스템 등 다양한 의료기기용 소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 합성, 표면 개질, 나노입자 코팅 등 첨단 소재공학 기술이 융합적으로 활용됩니다. 특히, 인공수정체 소재의 광학적·기계적 특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아크릴 단량체 및 가교제의 적용, 항균 및 항염 기능을 갖는 표면 코팅 기술, 약물 방출 제어가 가능한 생체고분자 필름 및 미소구체 개발 등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기기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혈관 색전물질 등 의료영상 및 치료용 나노소재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SCI급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신소재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앞으로도 의료 및 바이오 융합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할 계획입니다.
1
Heating Perform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ementComposites Using Conductive Films Coated with Multi-WalledCarbon Nanotubes
송기창, 박종건, 서동주, 윤창호, 김태형, 허광희
Materials, 202506
2
Effect of photo-initiation polymerization and thermal-initiation polymerization on the reduction of glistening in hydrophobic acrylic intraocular lens materials
김태형, 송기창
Macromolecular Chemistry and Physics, 202505
3
Effect of Hydrophobic Acrylic Monomers with Different Alkyl Side Chain Lengths on Reducing the Glistening of Hydrophobic Acrylic Intraocular Lens Materials
Kim Tae Hyoung, Song Ki Chang
CHEMISTRYSELECT, 202411
1
광촉매 효율이 우수한 이산화티탄 코팅용액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2023년 11월 ~ 2024년 05월
2
항바이러스용 기능성 필터 및 마스크 개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1년 12월 ~ 2022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