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Group
신소재공학과 심우영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심우영 교수 연구실은 이차원(2D) 소재의 합성과 구조 제어,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세계적 연구 그룹입니다. 본 연구실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결정 대칭성과 구조를 갖는 새로운 2D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재 과학의 근본적인 이해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III-V 및 IV족 반도체, 금속, 절연체 등 다양한 계열의 소재를 원자 단위에서 설계하고, 결정 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연구실은 이온 및 전하 이동 제어를 기반으로 한 멤트랜지스터, 뉴로모픽 소자 등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차원 소재의 van der Waals gap을 활용하여 이온과 전자의 동시 제어가 가능한 혁신적 소자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인메모리 컴퓨팅, 저전력 신경망 하드웨어 등 미래형 인공지능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멀티스테이트 제어, 저전력 구동, 3차원 집적화 등 첨단 소자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2D 멤브레인 및 절연체 소재를 이용한 에너지 및 환경 응용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선택적 이온 수송, 염분차 발전, 수처리, 리튬 추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2D 멤브레인의 우수한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있으며, 생체 이온 채널에서 영감을 받은 미세 구조 설계로 기존 멤브레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친환경 자원 활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본 연구실은 대면적 병렬 나노패터닝 및 나노이미징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광학적 다중 탐침 시스템, 근접장 포토리소그래피, 캔틸레버 없는 스캐닝 프로브 어레이 등 첨단 공정 기술을 통해, 대면적 고해상도 나노패터닝과 이미징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심우영 교수 연구실은 소재의 합성-구조-물성-소자-응용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통해, 미래 신소재 및 나노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산학협력, 특허, 논문, 수상 경력을 바탕으로, 학문적·산업적 혁신을 지속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Hydrogen-Sorption Measurement
Monolayer Graphene Transfer
Two-Dimensional Materials
차세대 이차원 소재의 합성과 결정 구조 제어
본 연구실은 독창적인 결정 대칭성을 가진 새로운 이차원(2D) 소재의 합성과 구조 분석을 핵심 연구 분야로 삼고 있습니다. 기존의 벌크 소재와는 다른 결정 구조와 대칭성을 갖는 2D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전통적인 소재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의 합성은 열역학적 에너지와 동역학적 요인을 정밀하게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이온 및 전자/정공의 이동과 같은 동적 상태에서의 거동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III-V 및 IV족 반도체, 금속, 절연체 등 다양한 계열의 2D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결정 구조를 원자 단위에서 제어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결정 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설계 원리를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형성(Polymorphism) 제어, 결정 대칭성 조작, 그리고 결정 내 결함 및 계면 제어를 통해 소재의 전기적, 기계적, 광학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소재, 촉매,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소재의 합성에서부터 구조 분석, 물성 평가, 소자 응용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적 접근을 통해, 미래 신소재 개발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온 및 전하 이동 제어 기반 멤트랜지스터와 뉴로모픽 소자
본 연구실은 이차원 반도체 및 금속 소재의 이온 및 전하 이동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멤트랜지스터(memtransistor)와 뉴로모픽 소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반도체 소자는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만을 제어하는 데 한정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실에서는 이온 이동 경로(특히 van der Waals gap)를 활용하여 전하와 이온의 동시 제어가 가능한 혁신적 소자 구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멤트랜지스터는 메모리와 트랜지스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다중 상태 제어, 저전력 구동,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처리 등 기존 소자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인메모리 컴퓨팅 및 뉴로모픽 하드웨어 구현에 최적화된 소재와 소자 구조를 개발하여, 인간 두뇌의 고밀도 메모리와 에너지 효율적 정보처리 방식을 모방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하드웨어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III-V 및 IV족 계열의 새로운 2D 반도체를 기반으로, 이온 이동 경로의 에너지 장벽을 낮추고, 소자의 스위칭 전압을 최소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멤트랜지스터의 3차원 집적화, 소자 간 상호 연결, 칩 레벨에서의 신호 처리 등 시스템 통합 연구도 병행하여, 미래형 반도체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차원 멤브레인 및 절연체 기반 에너지·환경 응용
연구실은 이차원 멤브레인 및 절연체 소재의 van der Waals gap을 활용한 이온 이동 및 선택적 이온 수송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2D 멤브레인은 화학 퍼텐셜, 열 구배, 전기장 등 다양한 구동력 하에서 이온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력 생산, 수처리, 자원 추출 등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 해수에서의 리튬 추출, 이온 체(sieving) 기반 수처리, 염분차 발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2D 멤브레인의 우수한 선택성과 내구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생체 이온 채널에서 영감을 받은 채널 크기, 표면 전하, 결합 사이트 설계 등 미세 구조 제어를 통해, 기존 멤브레인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 향상, 친환경 자원 활용, 차세대 분리막 및 센서 개발 등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큽니다. 또한, 소재의 합성-구조-물성-응용을 아우르는 전방위적 연구를 통해, 미래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Jongbum and Taeyoung's paper on cation-eutaxy model is published in Nature Communications.
Jongbum, Taeyoung
Nature Communications, 2025.06
2
Taeyoung's paper on 2D InAs is published in Advanced Materials.
Taeyoung
Advanced Materials, 2025.03
3
Seokmin's paper on 2D thermal insulator work is published in Nano Letters.
Seokmin
Nano Letters, 2025
1
[통합이지바로/RS/주관] 이온/전하 이동제어가 가능한 III-V 및 IV 저전력 멤트랜지스터 소재·소자 개발(1/2단계)(1/3)
2
(통합Ezbaro/IRIS) 뉴로모픽 ion-sieving 이차원 소재: 에너지 발전, 수소 이온 전도, 수처리용 무기 멤브레인 개발(2/5)(2023.9.1~2028.2.29)
3
(23001-45FC) 수직 적층형 cell 트랜지스터 공정 개발을 통한 3차원 DRAM 개발 방향 제시(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