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Management Lab
산업시스템공학과 이주용
창원대학교 기술경영연구실(Technology Management Lab, TMLAB)은 데이터 기반의 기술 예측과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를 중심으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업공학 및 시스템공학의 이론과 실무를 접목하여, 신기술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기술 혁신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신기술 예측 및 분석,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 전력 및 에너지 수요 예측 등입니다. 특허 데이터, 사회 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인공지능 기반 분석 등 다양한 첨단 방법론을 활용하여, 미래 유망 기술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수소 에너지,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분야의 기술 혁신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중의 수용성, 정책 효과, 산업적 파급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며, 정부와 기업의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 및 에너지 수요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반 모델 개발을 통해, 에너지 산업의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며, 기술경영 및 에너지 정책 분야에서 학문적·실무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책 자문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과 사회적 합의 도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술경영연구실은 데이터와 첨단 분석 기법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혁신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신기술 예측 및 분석
신기술 예측 및 분석은 기술경영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서 미래의 유망 기술을 식별하고 그 발전 방향을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특허 분석, 사회 데이터 분석, 텍스트 마이닝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 방법론을 활용하여 차세대 기술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기술의 성장 가능성과 시장 진입 시기, 그리고 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대규모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술의 공백 영역을 탐색하고, 사회적 이슈와 트렌드를 반영한 신기술의 출현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법과 대형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방대한 기술 문서와 특허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미래 기술의 발전 경로를 시각화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의 연구개발(R&D) 전략 수립과 정부의 기술 정책 결정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신기술 예측 및 분석 연구는 에너지, 전력, 친환경 기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분석과 전문가적 통찰을 결합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국가 및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는 신기술 및 에너지 시스템,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기술적 변화가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조건부 가치평가(Contingent Valuation),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 설문조사, 투입-산출 분석, 정책 영향 분석 등 다양한 계량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술 도입 및 정책 변화가 사회 전체에 가져오는 편익과 비용을 평가합니다.
특히, 수소 에너지,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에너지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중의 수용성 결정 요인, 기술 개발에 대한 지불의사액(WTP) 추정, 정책 도입에 따른 산업 및 고용 효과 분석 등 실질적인 정책 지원 자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부와 기업이 기술 도입 및 확산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됩니다.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는 기술 혁신이 단순히 경제적 이익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신뢰, 환경적 지속가능성, 정책적 합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균형 있게 평가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본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기술의 사회적 파급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과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전력 및 에너지 수요 예측
전력 및 에너지 수요 예측은 에너지 산업의 효율적 운영과 정책 수립을 위해 필수적인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시계열 분석, 기계학습, 딥러닝 등 첨단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전력 및 에너지 수요의 변동성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에너지 자원의 최적 배분을 지원합니다.
최근에는 전력 피크 부하 예측,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에너지 거래 플랫폼의 요금 산정 등 다양한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결합하여 기존의 전통적 예측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등 외부 요인이 에너지 수요에 미치는 영향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그리드,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 등 미래 에너지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에너지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1
Economic value of accelerating the hydrogen production, transportation, storage and utilisation: integrating techno-economic and socio-political perspectives of hydrogen value chain logistics.
Ahn, J., Lee, J.*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025
2
Socio-political determinants of public acceptance of green hydrogen.
Cho, E., Lee, J.*
Energy Nexus, 2025
3
A techno-economic analysis on reactive capture and conversion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Lee, J., Cho, E.*
Energy Storage,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