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관 연구실
건축공학전공 임명관
임명관 연구실은 건설환경 및 건축공학 분야에서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및 구조물 해체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순환골재의 품질 향상, 재생 콘크리트의 성능 개선, 그리고 자원순환형 건설재료 개발을 주요 연구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표면개질, 강제 탄산화, 나노버블, 마이크로파 가열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저품질 순환골재의 성능을 천연골재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해체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기계적 파쇄 방식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철근의 회수율을 높여 자원순환에 크게 기여합니다. 관련 특허와 실증 연구를 통해 기술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으며,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장비 개발 및 표준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고기능성 콘크리트 및 첨단 시공재료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초고강도 그라우트, 경량기포콘크리트, 상변화물질(PCM) 혼입 콘크리트, 고연성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성능과 내구성,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내진성능 향상, 시공 안전성 확보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실험실 연구를 넘어 현장 적용성까지 고려한 실용적 연구를 지향합니다. 또한, 관련 특허 출원과 기술이전, 학술 논문 발표, 산학협력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연구성과의 사회적 확산과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임명관 연구실은 순환골재의 대량 생산 및 현장 적용성 확대, 다양한 건설재료와의 융합 연구, 친환경 건설기준 및 녹색시방 개발 등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자원순환과 탄소중립 실현,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환경 조성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순환골재 및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
본 연구실은 순환골재의 품질 향상과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및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품질 순환골재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개질, 강제 탄산화, 나노버블, 마이크로파 가열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순환골재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천연골재에 가깝게 향상시키고, 재생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버블을 이용한 탄산화 개질 기술, 표면개질 및 마이크로파 가열을 통한 골재 회수 기술 등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도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건설 폐기물의 자원화와 환경오염 저감, 그리고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순환골재의 대량 생산 및 현장 적용성 확대, 다양한 건설재료와의 융합 연구, 그리고 친환경 건설기준 및 녹색시방 개발 등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자원순환과 탄소중립 실현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고주파 유도가열 및 해체 기술을 활용한 구조물 해체 혁신
본 연구실은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해체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기계적 파쇄 방식이 가진 소음, 분진, 에너지 소모, 철근 회수율 저하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주파 유도가열을 통해 철근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혁신적 해체 공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기술은 부분 해체, 리모델링, 유지보수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철근의 회수율을 높여 자원순환에 크게 기여합니다. 또한, 해체 공정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임으로써 건설 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입니다. 관련 특허와 실증 연구를 통해 기술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으며,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장비 개발 및 표준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고주파 유도가열 해체 기술의 자동화, 대형 구조물 적용, 스마트 센서 융합 등 첨단화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건설 해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친환경·스마트 건설기술의 글로벌 확산을 주도할 계획입니다.
고기능성 콘크리트 및 첨단 시공재료 연구
연구실은 고기능성 콘크리트 및 첨단 시공재료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초고강도 그라우트, 경량기포콘크리트, 상변화물질(PCM) 혼입 콘크리트, 고연성 PET 섬유 보강 콘크리트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성능과 내구성,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기용 초고강도 그라우트, PCM을 이용한 단열·축열 콘크리트 패널, 고연성 섬유 보강 내진 콘크리트 등은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어 우수한 성능을 입증받고 있습니다. 또한, 단열갱폼, 합성수지 거푸집 등 시공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고려한 신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내진성능 향상, 시공 안전성 확보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재료공학과 시공기술의 융합을 통해 건설산업의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1
Protection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ison using Insulation Formwork in Winter
임명관, 남경용, 최형길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024
2
Effects of Nitrite/Nitrate-Based Accelerators on Strength and Deformation of Cementitious Repair Materials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s
최희섭, Masumi Inoue, 최형길, 임명관, 김지훈
MATERIALS, 2023
3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pplicability of Synthetic Resin Formwork
임명관, 남경용
MATERIALS, 2023
1
대형 건축물에 적합한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개발
2
기상정보를 활용한 건설현장 및 건축물의 안전성 향상과 비용절감 서비스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개발
3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도심 내 건축시설물의 지속 유지관리 시스템 모델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