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연구실
환경공학과 김동수
김동수 연구실은 환경공학 분야에서 환경화학을 중심으로 한 수처리 및 오염물질 제거 기술 개발에 탁월한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유해 오염물질, 특히 중금속, 유기염료, 난분해성 유기화합물 등 수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활성탄, 천연 및 폐기물 유래 흡착제, 나노소재, 촉매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오염물질의 흡착, 분해, 침전 및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제거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실제 환경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근 피에조전기 촉매, 광촉매, 전기화학적 산화 등 첨단 에너지 기반 촉매 활성화 기술을 융합하여, 기존 공정 대비 에너지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황화몰리브덴(MoS2) 나노시트, 하이드로차, 은 나노입자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촉매를 개발하여, 폐수 내 난분해성 유기오염물 및 염료의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매스 유래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흡착제 및 촉매 개발을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온도, pH, 이온강도 등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른 오염물질의 안정성 변화와 반응 특성에 대한 열역학적·동역학적 해석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Pourbaix Diagram 등 전기화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중 이온의 안정 영역을 분석하고, 실제 수처리 공정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기초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 및 환경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학술지 논문, 특허,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성과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관리와 자원 순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종 유해물질 대응, 기후변화에 따른 수환경 변화, 폐기물 재활용 등 다양한 국가적·사회적 이슈에 대응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동수 연구실은 환경공학 및 환경화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정화 기술 개발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Biorefineries
Adsorbents
Polyhydroxyalkanoates (PHA)
환경화학 기반 수처리 및 오염물질 제거 기술
김동수 연구실은 환경화학을 기반으로 한 수처리 및 오염물질 제거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유해 오염물질, 특히 중금속, 유기염료, 난분해성 유기화합물 등 수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활성탄, 천연 및 폐기물 유래 흡착제, 나노소재, 촉매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오염물질의 흡착, 분해, 침전 및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제거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이차전지, 폐수, 산업폐기물 등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이온(니켈, 코발트, 카드뮴, 구리 등)의 안정성 변화와 침전 특성, 그리고 온도, pH, 이온강도 등 환경조건에 따른 반응 특성에 대한 열역학적·동역학적 해석을 심도 있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Pourbaix Diagram 등 전기화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중 이온의 안정 영역을 분석하고, 실제 수처리 공정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기초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산업 현장 및 환경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학술지 논문, 특허,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성과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관리와 자원 순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촉매 및 나노소재를 활용한 고도 산화·환원 공정 개발
연구실은 친환경 촉매 및 나노소재를 활용한 고도 산화·환원 공정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황화몰리브덴(MoS2) 나노시트, 하이드로차, 은 나노입자 등 다양한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촉매를 개발하여, 폐수 내 난분해성 유기오염물 및 염료의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피에조전기 촉매, 광촉매, 전기화학적 산화 등 다양한 에너지 기반 촉매 활성화 기술을 융합하여, 기존 공정 대비 에너지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에조전기 촉매를 이용한 과황산염 활성화, 산화 라디칼 생성, 그리고 이 과정에서의 유기오염물 분해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집니다. 이와 함께, 바이오매스 유래 소재(예: 커피 찌꺼기, 과일 껍질, 폐목재 등)를 활용한 친환경 흡착제 및 촉매 개발도 병행하여, 자원순환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소재 및 공정 개발은 수처리뿐만 아니라 대기, 토양 등 다양한 환경 매체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실제 산업 폐수, 생활하수, 농업 폐수 등 다양한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해 그 실효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정화 기술 개발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1
MoS2@Hydrochar nanocomposites with cost-effective fluid turbulent eddies induced piezoelectric catalytic peroxymonosulfate utilization efficiency for water polluted dye degradation
김동수, Suyeon Choi, Qun Wang, Win Thi Yei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202504
2
Piezoelectric catalytic driven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two-dimensional metal dichalcogenides for wastewater pollutants remediation
김동수, Qun Wang, Win Thi Yein
CHEMOSPHERE, 202404
3
Carboxylate-functionalized dragon fruit peel powder as an effective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Rhodamine B (cationic dye) from aqueous solution: adsorption behavior and mechanism
김동수, J. Wen, Y. Vijaya, K. Lin, C. Shu, J. Wen, A. Gollakota, H. Wen, M. Subbaiah
INTERNATIONAL JOURNAL OF PHYTOREMEDIATION, 202301
1
커리어주도형 글로벌 여성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선도 모델 개발 및 확산 사업단
2
유해가스 성분 환경모니터링 및 센서 신뢰도 평가시스템(법/제도) 구축
3
용매추출법을 이용한 형광물질로부터 이트륨 회수의 기초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