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이윤지 교수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화학/생물정보연구실은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개발, AI 및 빅데이터 기반 약물 표적 발굴, 그리고 첨단 합성화학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과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분자모델링,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가상 스크리닝 등 첨단 컴퓨터 기반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실제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을 예측하는 알고리즘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대규모 화학·생명정보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데이터 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AI 기반 방법론을 통해, 질병 관련 단백질 표적과 활성 리간드, 바이오마커를 효율적으로 발굴하고 있습니다. 특히 Epigenome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 임상 수요 예측, 약동학 모델링 등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비대칭 촉매 반응과 연속공정기술(CMT) 등 첨단 합성화학 기술을 활용하여, 의약품의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합성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약 개발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관리, 공정 안전성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실제 제약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촉매 시스템과 반응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고순도·고효율의 의약품 중간체 및 활성 성분을 합성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외에도 단백질 기능 예측, 도메인 분석, 안정성 예측 등 생물정보학적 접근을 통해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예측하고, 약물 표적의 특이성과 선택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적 연구는 맞춤형 정밀의학 실현과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산학협력 및 글로벌 공동연구를 통해 실제 제약 산업과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AI와 빅데이터, 첨단 합성화학, 분자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차세대 신약 개발과 바이오마커 발굴, 맞춤형 치료제 개발 등 미래 약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