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안경현 교수
안경현 연구실은 화학생물공학부를 기반으로, 이동현상, 유변학, 미세유로 내 입자 거동, 이차전지 전극 슬러리 공정, 친환경 고분자 복합체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미세유로 및 여과 시스템에서의 입자 침적, 응집, 막힘(clogging) 현상에 대한 실험적·수치적 연구를 통해, 복잡한 유동 환경에서의 입자-유체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3D CNN 등)과 머신러닝 기반 신호 처리 기술을 도입하여, 미세유로 시스템의 실시간 진단 및 조기 막힘 예측 등 데이터 기반 공정 혁신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차전지(리튬이온 배터리) 전극 슬러리의 유변학적 특성 분석과 공정 최적화 역시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슬러리 내 입자와 바인더의 상호작용, 분산 안정성, 점도 및 유동 특성, 저장 및 건조 조건이 전극의 미세구조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실험적 유변학 측정, 전기화학적 분석, 그리고 공정 내 센서 신호의 머신러닝 기반 진단 기법을 결합하여, 배터리 제조 공정의 품질 관리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세조류(Chlorella sp. HS2 등) 기반의 친환경 고분자 복합체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를 다양한 고분자와 융합하여, 기계적 물성, 분산성, 가공성, 생분해성 등 다양한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미세조류의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성분별 특성을 활용한 바이오리파이너리, 잔여 바이오매스의 고부가가치화, 그리고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로의 응용 등, 지속가능한 소재 개발을 위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과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분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복잡유체 및 입자계 소재의 구조-물성-공정-성능 연계 연구를 수행합니다. 다양한 산업 현장(배터리, 수처리,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등)에서 요구되는 공정 신뢰성, 품질 진단, 친환경 소재 개발 등 실질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출원과 산학협력, 국내외 학회 발표, 정부·산업체 연구과제 수행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통해, 학문적·산업적 파급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안경현 연구실은 이동현상, 유변학, 복잡유체 공정, 친환경 소재 개발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융합적 접근을 통해, 미래 산업과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창의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