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eepl2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조용훈 교수

에너지 및 전기화학 소재·시스템 연구실(EEPL2)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의 핵심인 연료전지와 수전해 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기화학적 소재와 장치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AEMFC), 그리고 물 전기분해(수전해) 시스템의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촉매, 전극, 막-전극 접합체(MEA) 개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백금 등 귀금속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활성과 내구성을 갖는 촉매 개발, 나노구조화 및 합금화, 탄소 껍질 코팅, 단일 원자 촉매 등 첨단 합성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적 최적화, 계면 공학, 대면적 MEA 제조 기술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 및 모빌리티, 선박, 휴대용 전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고내구성 연료전지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전해 분야에서는 음이온 교환막(AEM) 및 양이온 교환막(PEM) 기반 수전해 장치의 효율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비귀금속 촉매, 3차원 다공성 전극, 역 오팔 구조, 그래핀폼 등 혁신적 소재 및 구조 설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제 운전 환경에서의 내구성 평가, 염분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성능 저하 및 회복 기술 개발, 대면적 MEA 제조 및 시스템 통합 기술 등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외에도, 친환경 대체연료(암모니아 등) 기반 연료전지, 저가형 고효율 수전해 시스템, 금속-공기 전지, 리튬이차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변환·저장 장치의 소재 및 시스템 연구를 폭넓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다양한 국가·산업체 과제를 통해 실용화와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와 논문,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EEPL2 연구실은 미래 에너지 사회 실현을 위한 혁신적 소재·공정·시스템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