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은성교수연구실 고분자 재료 및 나노의약연구실

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이은성 교수

Drug Delivery Systems

Nanomedicine

Photodynamic Therapy

이은성교수연구실 고분자 재료 및 나노의약연구실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 이은성

이은성교수연구실 고분자 재료 및 나노의약연구실은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에 속해 있으며, 주로 약물 전달 시스템, 나노의약, 광역학 치료, 고분자 나노입자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이 연구실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고도화된 약물 전달 시스템과 혁신적인 나노의약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pH 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항암 치료제 개발에 큰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2023년에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근적외선 반응성 나노약물 플랫폼을 개발하여 이미지 유도 국소 화학-광열 치료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였고, 2024년에는 5-플루오로우라실과 pH 반응성 보조제를 탑재한 세포외 소포체를 개발하여 종양 표적 치료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기능성 리포좀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기반의 다양한 항암 나노입자 조성물을 개발하여 학계와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Drug Delivery Systems
Nanomedicine
Photodynamic Therapy
암 표적 치료를 위한 pH 민감성 나노입자 개발
고분자 재료 및 나노의약연구실은 암 표적 치료를 위한 pH 민감성 나노입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종양의 산성 환경을 이용하여 약물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고분자 및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pH 반응성을 가지는 나노입자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나노입자는 약물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종양의 산성 환경에서만 활성화되어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또한, 연구팀은 히알루론산과 같은 생체적합성 물질을 사용하여 나노입자의 생체 내 안정성을 높이고, 특정 리간드를 결합시켜 표적 세포 인식을 향상시킵니다. 이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암 치료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화학요법과 광역학 치료의 결합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제시합니다.
1
3D-printed NIR-responsive bullets as multifunctional nanodrug platforms for image-guided local chemo-photothermal therapy
ELSEVIER SCIENCE SA, 2023
2
pH-dependent swellable hyaluronate nanogels targeting acidic tumors
JOHN WILEY & SONS LTD, 2023
3
Macrophage-reprogramming upconverting nanoparticles for enhanced TAM-mediated antitumor therapy of hypoxic breast cancer
ELSEVIER BV,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