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민 연구실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이종민
이종민 연구실은 플라즈모닉 나노구조와 박테리오파지 기반 바이오-나노 융합 기술을 중심으로 첨단 센서 및 광전자 소자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금속 나노입자와 박막 사이의 나노갭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플라즈모닉 구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표면증강 라만산란(SERS) 센서, 나노입자-온-미러(NPoM) 구조, 3차원 나노프린팅 기반 나노클러스터 등 다양한 혁신적 광센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대면적에서 균일한 나노갭 구조를 구현하는 새로운 제작 공정과,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 형태가 플라즈모닉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DNA, 단백질,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타겟 물질의 초고감도 검출을 가능하게 하며, 바이오센서, 환경센서,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특허와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박테리오파지(M13 bacteriophage)를 활용한 바이오-나노 융합 센서 및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입니다. 박테리오파지는 유전공학적으로 표면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타겟 분자에 대한 선택적 결합이 가능합니다. 이를 이용해 컬러리메트릭 센서, 전자코, VOC 검출기 등 다양한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농산물 숙성 모니터링, 환경 유해가스 감지, 질병 진단 등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박테리오파지 기반 센서의 민감도와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 펩타이드 서열 최적화, 다중 어레이 센서 구조, 딥러닝 기반 신호 분석 기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분별력과 신속한 응답성을 확보하였으며, 실제 호흡가스 기반 질병 진단에서 높은 진단 및 분류 성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박테리오파지-금속 나노구조 복합체를 활용한 광학적 신호 증폭, 바이오하이브리드 양자점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종민 연구실은 나노미터 수준의 정밀 제어와 새로운 광학 현상 발굴을 통해 혁신적인 센서 및 광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플라즈모닉 나노구조와 박테리오파지 기반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환경 모니터링, 식품 안전,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Biohybrid Nanojunctions
Bacteriophage-based Sensors
Artificial Olfactory Systems
플라즈모닉 나노구조 및 나노갭 기반 센서 기술
플라즈모닉 나노구조는 금속 나노입자와 금속 박막 사이에 형성된 나노갭을 활용하여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기술입니다. 이종민 연구실은 표면증강 라만산란(SERS) 기판, 나노입자-온-미러(NPoM) 구조,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금속 나노입자 어셈블리를 통해 나노미터 수준의 정밀한 갭 제어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센서의 민감도와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DNA, 단백질,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타겟 물질의 초고감도 검출이 가능합니다.
특히, 연구실은 나노갭의 크기와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작 공정(예: 듀얼 드웻팅, 미세피펫 기반 자기조립 등)을 개발하여, 대면적에서 균일한 센서 기판을 구현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ERS 신호의 재현성과 균일성을 확보하였으며, 실제 바이오센서, 환경센서,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 형태(페이싱, 다면체 등)가 플라즈모닉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라즈모닉 나노구조 연구는 차세대 광센서, 나노광학 소자,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연구실은 관련 특허와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나노미터 수준의 정밀 제어와 새로운 광학 현상 발굴을 통해 혁신적인 센서 및 광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테리오파지 기반 바이오-나노 융합 센서 및 인공 후각 시스템
이종민 연구실은 박테리오파지(M13 bacteriophage)를 활용한 바이오-나노 융합 센서 및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오파지는 유전공학적으로 표면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타겟 분자에 대한 선택적 결합이 가능합니다. 이를 이용해 컬러리메트릭 센서, 전자코(e-nose),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검출기 등 다양한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농산물 숙성 모니터링, 환경 유해가스 감지, 질병 진단(예: 폐암 진단) 등 실용적인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박테리오파지 기반 센서의 민감도와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 펩타이드 서열을 최적화하고, 다중 어레이 센서 구조 및 딥러닝 기반 신호 분석 기법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분별력과 신속한 응답성을 확보하였으며, 실제 호흡가스 기반 질병 진단에서 75% 이상의 진단 성공률과 86% 이상의 분류 성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박테리오파지-금속 나노구조 복합체를 활용한 광학적 신호 증폭, 바이오하이브리드 양자점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저비용, 대면적, 휴대용 센서 개발에 적합하며, 환경 모니터링, 식품 안전,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박테리오파지의 유연한 표면 설계와 나노구조 제어 기술을 결합하여, 차세대 바이오센서 및 인공 후각 시스템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Nanofountain Pen for Writing Hybrid Plasmonic Architectures
이종민
SMALL STRUCTURES, 202401
2
Dual-Dewetting Process for Self-Assembled Nanoparticle Clusters in Wafer Scale
이종민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09
3
M13 Bacteriophage-Assisted Synergistic Optical Enhancement of Perovskite Quantum Dots
이종민
APPLIED SCIENCES-BASEL, 202309
1
3D 나노프린팅 기반 양자소자 어셈블리 기초연구실
2
친환경-생분해 박테리오파지 나노구조 센서 기반 휴대용 토양오염물질 측정 IoT디바이스 및 필터 개발
3
바이오-나노 소재 기반 플라즈모닉 나노갭 구조체 개발 및 에너지 소자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