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NPRL 연구실

부산대학교 나노과학기술대학 조채용 교수

NPRL 연구실은 나노에너지공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한 연구실로, 차세대 이차전지용 나노구조 전극 소재 개발을 핵심으로 다양한 에너지 소재 및 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리튬이온 및 나트륨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 장수명화, 고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풀러렌(C60), TiNb2O7, Fe2O3, Fe3O4, SnO2, WS2, FeS 등 다양한 금속 산화물 및 탄소계 나노소재의 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결정질 풀러렌(C60) 기반의 혁신적 음극 소재 개발과 그 저장 메커니즘 규명, 다양한 도핑 및 표면 개질 기술을 활용한 나노구조 전극의 성능 향상, 그리고 실제 셀 단위에서의 장기 내구성 평가 등 기초부터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 보론·질소 도핑 탄소 나노섬유, FeS@NCG 등 친환경적이고 저비용의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실은 에너지 소재의 구조-물성-공정 상관관계 해석을 통해 신소재 설계 및 최적화에 대한 독보적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합성 및 후처리 공정(플라즈마, 어닐링, 도핑 등)을 개발하고, 첨단 분석장비와 이론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소재의 미세구조, 계면 특성, 이온/전자 전도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공정, 광촉매, 태양전지 등 에너지 융합 소재 및 소자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기반 표면 개질, 고효율 광촉매 및 태양전지 소재 개발, 투명전극 및 박막 소자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적 연구를 통해 미래 에너지 및 환경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지원 대형 연구사업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차전지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기술인력양성사업 등 국가적 에너지 인재 양성 및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NPRL 연구실은 앞으로도 나노에너지공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와 실용화, 그리고 융합 인재 양성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