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crete Structural Lab.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김윤용 교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건설재료 및 콘크리트 구조 연구실은 고성능 복합재료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SHCC(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등 고연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개발과 구조적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콘크리트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물의 내진성능 및 연성,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산업부산물, 바이오 폴리머, 폐자원 등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저탄소·저에너지 건설재료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슬래그, 플라이애시, 시멘트 바이패스 분진 등 다양한 부산물을 활용하여 자원순환형 건설재료를 개발하고,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과 환경부하 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 재료는 3D 프린팅 기술과 결합되어 비정형 구조물, 인공어초, 적층형 슬래브 등 다양한 구조적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도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크리프, 피로, 건조수축, 균열, 염해, 동결융해 등 구조물의 열화 메커니즘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재료 및 구조적 대책을 개발합니다. 이미지 프로세싱 기반의 균열 탐지, 센서 융합 모니터링,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등 첨단 진단 및 유지관리 기술을 접목하여 구조물의 장기 안전성과 효율적 유지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수·보강용 신소재 및 시공기술 개발, 3D 프린팅 기반 보수·보강 기술, 스마트 센서 융합 모니터링 시스템 등 미래형 유지관리 솔루션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 주요 인프라의 안전성 확보와 효율적 유지관리에 필수적이며, 정부, 공공기관,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용적이고 현장 적용 가능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다양한 특허와 기술이전, 산업체 협력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건설재료 및 콘크리트 구조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 건설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