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on Lab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손조은 교수

Metabolic Regulation

Mouse Genetics

High-Throughput Screening

Son Lab

식품공학부 손조은

손조은 교수 연구실(Physio-Genomics Lab)은 식품 생리유전체학을 기반으로, 식이요인, 유전자, 건강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융합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비만, 대사질환, 면역질환 등 현대인의 주요 건강 문제를 유전체 및 분자 수준에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진단, 예방,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IRX3, IRX5 등 Iroquois homeobox 유전자군이 대사 조절과 비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적으로 선도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이 유전자들이 신경계, 지방조직, 간 등 다양한 조직에서 어떻게 대사 항상성에 관여하는지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생쥐 유전학,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첨단 이미징, 생물정보학 등 다양한 최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하여, 유전자-환경-식이요인 간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해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간헐적 단식, 케톤식 등 다양한 식이중재가 대사질환에 미치는 효과와 그 분자적 기전을 조직-세포-유전체 수준에서 규명하고 있습니다. 천연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식품 소재의 발굴과 효능 검증, 작용기전 분석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바이오헬스 소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맞춤형 영양치료, 유전자 기반 건강관리, 질병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민 건강 증진과 질병 부담 감소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인 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협력 연구, 산학연 연계 프로젝트, 학술대회 발표 및 특허 출원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식품과 유전체, 건강을 잇는 혁신적 융합연구의 중심이 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래 사회의 건강 문제 해결과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차세대 융합형 인재 양성과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Metabolic Regulation
Mouse Genetics
High-Throughput Screening
대사 조절의 유전적 기전 규명
우리 연구실은 비만과 대사질환의 근본적인 유전적 기전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Iroquois homeobox 유전자군(IRX3, IRX5)이 인간 비만의 새로운 유전적 결정인자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이 유전자들이 대사 조절과 비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생쥐 유전학, 첨단 이미징, 유전체 및 생물정보학 분석 등 다양한 융합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IRX 유전자의 기능과 작동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유전자 변이가 대사 항상성, 에너지 소비, 식욕 조절 등 신체의 다양한 대사 경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시상하부 신경발생과 렙틴 반응성, 지방조직의 열발생 등 신경계와 대사계의 연결고리를 규명함으로써, 비만 및 대사질환의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등 최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비만 및 관련 대사질환의 진단, 예방, 치료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개인 맞춤형 영양 및 유전자 기반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식이요인 및 기능성식품이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
우리 연구실은 식이요인과 영양소가 대사 및 생리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간헐적 단식, 케톤식 등 다양한 식이중재가 대사질환에 미치는 효과와 그 분자적 기전을 조직-세포-유전체 수준에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이상태에 따른 대사기관의 세포계통 특이적 변화와 조직 발달, 그리고 이 과정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천연 생리활성물질 및 그 대사체의 건강 증진 효과와 신약 개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고속 스크리닝, 세포 및 생쥐 모델, 컴퓨터 기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 및 바이오액티브 컴파운드를 발굴하고, 이들의 효능 및 작용기전을 체계적으로 검증합니다. 이를 통해 비만, 고지혈증, 지방간 등 다양한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이요법과 기능성식품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유전체-영양소-질병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해석함으로써, 맞춤형 영양치료 및 건강관리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식이, 유전자, 건강의 복합 상호작용 해석
우리 연구실은 식이, 유전자, 건강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것을 핵심 미션으로 삼고 있습니다. 세포 스크리닝 모델, 유전자 조작 생쥐, 차세대 유전체 분석, 생물정보학 도구 등 첨단 연구기법을 활용하여, 생리적, 대사적, 질병 관련 과정을 유전체 수준에서 이해하고 조절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식이요인과 유전적 배경이 대사질환, 면역질환, 암 등 다양한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자 변이와 식이요인의 상호작용이 비만, 당뇨, 지방간 등 대사질환의 발병 위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이러한 복합 네트워크가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맞춤형 영양치료, 개인 유전체 기반 건강관리, 질병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 증진과 질병 부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Unlocking Biological Mechanisms with Integrative Functional Genomics Approaches.
Mol Cells, 2024.07
2
Genetics, Pharmacotherapy, and Dietary Interventions in Childhood Obesity.
J Pharm Pharm Sci, 2024.05
3
Ectopic expression of Irx3 and Irx5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hypothalamus contributes to defects in Sim1 haploinsufficiency
Son JE*, Dou Z, Wanggou S, Chan J, Mo R, Li X, Huang X, Kim KH, Michaud J, Hui CC*
Science Advances, 2021
1
녹색융합기술 인재양성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4년 09월 ~ 2025년 08월
2
단일 세포 전사체 탐색법을 이용한 비만 유발 유전자 Sim1과 Irx3의 시상하부 조절 기전 규명
한국연구재단
2018년 09월 ~ 2019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