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UNIST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

Photocatalysis

Electrocatalysis

Energy Storage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소재와 전기화학 촉매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공유결합성 유기 프레임워크(COFs), 융합 방향족 네트워크(FANs) 등 고차원 유기 구조체의 설계 및 합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응용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COF와 FAN 소재는 높은 결정성과 다공성, 맞춤형 기능화가 가능하여, 에너지 저장·변환, 가스 저장, 환경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소재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탄소 나노구조체(그래핀, 나노튜브 등)와 유기 프레임워크를 융합한 복합 소재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속-프리 촉매, 금속-탄소 복합체, 단일 원자 촉매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화학 촉매를 설계하여, 수소 발생 반응(HER), 산소 환원 반응(ORR), 산소 발생 반응(OER), 이산화탄소 전환 반응 등 에너지 변환 및 저장에 필수적인 전기화학 반응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는 연료전지, 금속-공기전지, 수전해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장치에서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을 보입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구조 제어가 가능한 다공성 유기 프레임워크와 융합된 탄소 소재의 대량 합성 및 공정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고성능 에너지 소재의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금속 나노입자, 단일 원자, 이종 원소 도핑 전략을 통해 촉매의 활성과 선택성을 극대화하며, 이론-실험 융합 연구를 통해 구조-성능 상관관계를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다수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으며, 다양한 특허와 기술이전, 산학협력, 대형 국책과제 수행 등 실질적인 사회적 기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 구성원들은 유기화학, 재료공학, 전기화학, 나노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 구현을 목표로, 고기능성 유기 구조체 및 탄소 기반 소재의 설계·합성·응용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 에너지·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세계적인 연구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Photocatalysis
Electrocatalysis
Energy Storage
공유결합성 유기 프레임워크(COFs) 및 융합 방향족 네트워크(FAN) 개발
본 연구실은 공유결합성 유기 프레임워크(Covalent Organic Frameworks, COFs)와 융합 방향족 네트워크(Fused Aromatic Networks, FANs)와 같은 차세대 유기 구조체의 설계 및 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COFs는 2차원 및 3차원으로 확장된 구조를 가지며, 강한 공유결합을 통해 빌딩 블록이 연결되어 높은 결정성과 다공성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기존의 가역적 결합이 아닌 비가역적 결합 형성법을 도입하여, 실제 응용에 적합한 높은 안정성을 갖는 COF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가벼운 원소(H, B, C, N, O)로만 구성되어 있어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기능성 도입이 가능합니다. FAN 구조체는 빌딩 블록의 특정 융합을 통해 설계된 골격과 기공을 갖는 질서정연한 다공성 고분자입니다. FAN의 가장 큰 특징은 회전 가능한 단일 결합이 없는 융합 방향족 고리로 구조를 맞춤 설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전자, 이온, 광자, 분자 등의 교환이 가능한 안정적 공간을 제공하며, 맞춤형 화학적, 전기화학적, 광학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FAN 구조체의 합성과 구조 제어, 그리고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차원 유기 구조체 연구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촉매, 가스 저장, 환경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소재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특히, 구조적 안정성과 높은 표면적, 맞춤형 기능화가 가능한 COF 및 FAN 소재는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기술의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탄소 기반 에너지 소재 및 전기화학 촉매 개발
본 연구실은 탄소 나노구조체(그래핀, 나노튜브 등)와 유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소재 및 전기화학 촉매의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탄소 기반 금속-프리 촉매, 금속-탄소 복합체, 단일 원자 촉매 등 다양한 형태의 촉매를 설계하여, 수소 발생 반응(HER), 산소 환원 반응(ORR), 산소 발생 반응(OER), 이산화탄소 전환 반응 등 에너지 변환 및 저장에 필수적인 전기화학 반응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조 제어가 가능한 다공성 유기 프레임워크와 융합된 탄소 소재는 높은 표면적과 활성 사이트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여, 연료전지, 금속-공기전지, 수전해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장치에서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을 보입니다. 또한, 금속 나노입자, 단일 원자, 이종 원소 도핑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촉매의 활성과 선택성을 극대화하고, 실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대량 합성 및 공정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효율·저비용의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및 저장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미래 수소경제, 이차전지, 차세대 연료전지, 이산화탄소 저감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또한, 전기화학 촉매의 구조-성능 상관관계 규명, 활성 사이트의 정밀 분석, 이론-실험 융합 연구 등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1
A Robust 3D Cage‐like Ultramicroporous Network Structure with High Gas‐Uptake Capacity
Mahmood, J., Kim, S.-J., Noh, H.-J., Jung, S.-M., Li, F., Seo, J.-M., Baek, J.-B.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2018
2
Direct Synthesis of Covalent Triazine-based Framework from Aromatic Amides
Yu, S.-Y., Mahmood, J., Noh, H.-J., Seo, J.-M., Jung, S.-M., Shin, S.-H., Im, Y.-K., Jeon, I.-Y., Baek, J.-B.
Angew. Chem. Int. Ed., 2018
3
J. Xu, J. Mahmood, Y. Dou, S. Dou, F. Li, L. Dai, J.‐B. Baek, Adv. Mater. 2017, 29, 1702007.
J. Xu, J. Mahmood, Y. Dou, S. Dou, F. Li, L. Dai, J.‐B. Baek
Adv. Mater., 2017
1
에너지-머신러닝 융합형 혁신 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다공성 플랫폼 기반 생체모방 촉매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2년 ~ 2022년 12월
3
META-신소재 기반 융·복합형 에너지 변환 및 저장 기술 개발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0년 03월 ~ 2020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