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 연구실
지역환경토목학과 김대식
김대식 연구실은 지역환경토목학과를 기반으로 농공학, 치유농업, 스마트 농업 인프라 등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치유농업의 이론적 정립과 실천적 적용, 그리고 가상현실(VR) 기술을 접목한 가상치유농장 시스템 개발 등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치유농업 확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사회뿐 아니라 도시민, 장애인, 고령자 등 다양한 계층의 신체적·심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진단, 농업용 저수지의 실시간 유역 유출 및 홍수 예측 시스템, GIS 및 수리학적 해석을 활용한 농업 기반시설의 최적화 등 농촌 환경계획 및 스마트 농업 인프라 구축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재해 예방, 효율적 자원 관리 등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포형 수문모형, 저수지 내용적 곡선 시뮬레이션 시스템, 주산지 작물 생산량 예측 시스템 등 첨단 ICT와 융합된 농공학적 솔루션을 개발하여 농업 현장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허 출원 및 실용화 연구를 통해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농촌지역의 에너지 자립과 친환경 마을계획,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농촌관광 및 그린빌리지 조성 등 농촌의 다기능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농촌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대식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연구 프로젝트, 산학협력, 정책 자문, 학술활동 등을 통해 농공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실질적 사회 기여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농촌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건강한 사회 구현을 위해 혁신적 연구와 실천적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Healing Agriculture
Community Health Programs
Rural Planning
치유농업 및 가상치유농장 시스템 개발
김대식 연구실은 치유농업의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적용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치유농업은 농업 활동을 통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융합적 접근법으로, 최근 고령화 사회와 정신건강 이슈가 대두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설계, 효과 분석, 정책적 지원 방안 등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농촌 지역사회와 도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가상치유농장 시스템 개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VR 기반 치유농장 시스템은 실제 농업 활동이 어려운 환경이나 대상자에게도 치유농업의 효과를 전달할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입니다. 연구실은 VR 신체활동 치유프로그램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사용성 평가, 전문가 인식 조사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가상치유농장 시스템의 실효성과 확장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촌 폐교, 복지시설, 문화재생공간 등 다양한 지역 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 공간 모델 개발과도 연계되어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연구실은 치유농업의 제도화, 정책적 지원, 사회복지와의 융합 등 실질적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농촌지역 환경계획 및 스마트 농업 인프라 구축
연구실은 농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계획, 농업 인프라 구축,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농촌마을의 정주여건 진단, 농업용 저수지의 실시간 유역 유출 및 홍수 예측 시스템, GIS 및 수리학적 해석을 활용한 농업 기반시설의 최적화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촌의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재해 예방, 효율적 자원 관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포형 수문모형, 저수지 내용적 곡선 시뮬레이션 시스템, 주산지 작물 생산량 예측 시스템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된 농공학적 솔루션을 개발하여 농업 현장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허 출원 및 실용화 연구를 통해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농촌지역의 에너지 자립과 친환경 마을계획,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농촌관광 및 그린빌리지 조성 등 농촌의 다기능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농촌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Care Farming Program for Family Health: A Pilot Study with Mothers and Children
김대식, 이아영, 김선옥, 김경미, 박신애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001
2
Gardening Intervention as a Low- to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for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s, Blood Pressure,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Women over the Age of 70: A Pilot Study
김대식, 박신애, 이아영, 박희근, 이왕록, 손기철
HORTSCIENCE, 201701
3
Gardening Intervention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Benefits in Elderly Women at Community Centers
이왕록, 김대식, 이영아, 손기철, 박신애
HORTTECHNOLOGY, 201608
1
2024년 충남대학교 농어촌지역개발 전문인력 육성과정
3
농업용 저수지 시공간적 실시간 유역 유출 및 홍수 예측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