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정상섬 교수
정상섬 연구실은 지반공학 및 기초공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말뚝 및 전면기초, 파일벤트, 매입말뚝 등 다양한 기초구조물의 해석과 설계, 시공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3차원 유한요소해석, 하중전이법, 동적 해석 등 첨단 해석기법을 활용하여 초고층 건물, 교량, 철도, 해상구조물 등 사회기반시설의 안정성과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실제 현장 계측과 연계하여 실무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산사태 및 토석류와 같은 자연재해의 예측 및 모니터링 분야에서도 탁월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강우-침투-지하수 흐름을 연계한 GIS 기반 산사태 취약성 평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를 활용한 실시간 산사태 모니터링, 함수특성곡선(SWCC) 기반의 위험도 분석 등 다양한 첨단 기법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Coupled Eulerian-Lagrangian(CEL) 대변형 해석, 2상 유한체적모델, 비정형 강우 기준(ID curve) 산정 등 다양한 해석기법을 통해 산사태와 토석류의 발생, 이동, 피해 범위를 정밀하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기초구조물의 내진설계, 시공 중 모니터링, 기존 말뚝의 열화 및 보강 등 실무적 이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흙막이 벽체 변위 예측, 대형 연성기초의 성능향상, 내진성능 평가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도 진행 중이며, 다양한 특허와 표준설계기준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실질적인 기술이전 및 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정상섬 교수와 연구진은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국가연구재단,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적 안전망 강화와 재해 저감형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 토석류 위험지도, 재해 저감형 인프라 설계 등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상섬 연구실은 지반공학 및 기초공학의 이론적·실무적 발전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 향상, 첨단 모니터링 및 예측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외 인프라의 안전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핵심 연구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이어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