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희 연구실
약학과 최영희
최영희 연구실은 약물의 약동학(Pharmacokinetics) 및 약물상호작용 연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질환 상태에서의 약물 동태와 맞춤형 약물치료 전략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약물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대사효소 및 약물수송체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투여 전략을 제시합니다. 특히, 당뇨병, 신부전, 간질환 등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 약물의 약동학적 변화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물 및 한약제의 유효성분 발굴과 이들의 약리작용, 약동학적 특성 규명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오미자, 망고스틴, 홍삼 등 다양한 식물 추출물에서 활성 성분을 분리·동정하고, 이들이 대사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동물모델과 세포실험을 통해 검증합니다. 더불어, 천연물 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고체 분산체 제형, 나노의약품 등 약물전달 시스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ATLAB 기반의 PK/PD 융합모델을 활용하여 항암제 병용요법의 효과를 시간별로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링 연구는 실제 임상에서의 약물 투여 전략 수립과 신약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다양한 약물의 병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병용요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특허 출원, 기술이전, 신약후보물질 개발 등 연구성과의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실제 임상적용을 위한 예비 임상연구, 전임상 연구 등 다양한 연구단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실질적인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밀의료와 맞춤형 치료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의 환자 중심 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영희 연구실은 약물학, 약동학, 천연물 약리,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학제간 융합연구와 실용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신 연구기법과 임상적 요구를 반영한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의약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약물의 약동학 및 약물상호작용 연구
본 연구실은 다양한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및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약물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투여 전략을 제시합니다. 특히, 대사효소(CYP450) 및 약물수송체(OCT, MATE, P-gp 등)가 약물의 체내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동물모델과 임상자료를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당뇨병, 고혈압, 간질환 등 다양한 질환 상태에서 약물의 약동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임상적 의미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이나 신부전 등 질환 상태에서 약물의 대사 및 배설 경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약물 병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병용요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ATLAB 기반의 PK/PD 융합모델을 활용하여 항암제 병용요법의 효과를 시간별로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모델링 연구는 실제 임상에서의 약물 투여 전략 수립과 신약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천연물 및 한약제의 약리작용과 신약개발
연구실은 천연물 및 한약제의 유효성분을 발굴하고, 이들의 약리작용 및 약동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예: 오미자, 망고스틴, 홍삼 등)에서 활성 성분을 분리·동정하고, 이들이 대사성 질환(비알콜성 지방간, 비만, 당뇨병 등) 및 염증성 질환(염증성 장질환 등)에 미치는 효과를 동물모델 및 세포실험을 통해 검증합니다.
특히, 천연물 유래 화합물의 체내 흡수율 개선을 위한 고체 분산체 제형 개발, 약물 용해도 향상, 약물전달 시스템(나노의약품 등)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합성의약품과의 병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약물상호작용, 효능 증진, 부작용 감소 등 다양한 임상적 이점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물과 기존 약물의 병용요법이 대사경로, 수송체, 신호전달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신약후보물질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임상적용을 위한 예비 임상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천연물 기반 신약개발은 안전성과 효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미래 의약학의 중요한 분야로, 본 연구실은 이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질환 상태에서의 약물동태 및 맞춤형 약물치료
본 연구실은 다양한 질환 상태(당뇨병, 신부전, 간질환 등)에서 약물의 체내 동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임상적 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질환에 따라 대사효소 및 수송체의 발현이 달라지며, 이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를 동물모델 및 임상자료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만성질환 환자에서의 약물 용량 조절, 병용요법 시의 약물상호작용 예측, 신약 개발 시 질환 특이적 약동학 평가 등 실제 임상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에서의 메트포르민, 고혈압 환자에서의 베라파밀 등 주요 약물의 약동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임상적 함의를 분석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밀의료와 맞춤형 치료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의 환자 중심 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임상 및 임상연구를 연계하여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Cycloartane-type triterpenoids from Combretum quadrangulare Kurz with PCSK9 secretion inhibitory activities
최영희
PHYTOCHEMISTRY, 202411
2
PHARMACOKINETIC FEASIBILITIES OF CO-AMORPHOUS DISPERSIONS OF MIRABEGRON IN RATS AND MICE
Choi Young Hee, Kim Seo-Yeon
DRUG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202404
3
Dihydrostilbenes and flavonoids from whole plants of Jacobaea vulgaris
최영희
PHYTOCHEMISTRY, 202404
1
MATLAB 기반 병용항암요법 효과의 시간별-정략적 예측을 위한 PK/PD 융합모델 개발 및 검증 [4/5]
2
MATLAB 기반 병용항암요법 효과의 시간별-정략적 예측을 위한 PK/PD 융합모델 개발 및 검증 [3/5]
3
MATLAB 기반 병용항암요법 효과의 시간별-정략적 예측을 위한 PK/PD 융합모델 개발 및 검증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