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bridgeexpert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심창수 교수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Modular Bridge Construction

Composite Bridges

bridgeexpert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심창수

본 연구실은 사회기반시설의 안전과 혁신을 목표로 다양한 첨단 구조공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방호구조물 및 폭파압력 저감 기술, 프리캐스트 및 합성구조 기반 교량공학, 디지털 트윈 및 BIM 기반 인프라 유지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알루미늄 폼 패널과 같은 혁신적인 소재를 활용한 방호시스템 개발, 합성구조의 동적 특성 분석, 그리고 실험 및 해석을 통한 내폭 성능 평가 등은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수의 특허와 기술이전, 그리고 실용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프리캐스트 및 합성구조 분야에서는 프리캐스트 데크, 기둥, 모듈러 교각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계, 시공, 연결부 성능 평가, 내진성능 향상, 미적 디자인 구현 등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D 프린팅, 로보틱 가공 등 첨단 제조기술을 접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 효율성, 미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과 BIM 기술을 활용한 인프라 유지관리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모델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유지관리, 자동화된 점검 및 보수공법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손상 예측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구조물의 생애주기 관리와 유지관리 효율성 증대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학회 및 컨퍼런스 발표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사회기반시설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첨단 구조공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Modular Bridge Construction
Composite Bridges
방호구조 및 폭파압력 저감 기술
본 연구실은 방호구조물의 설계와 폭파압력 저감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폼 패널과 같은 혁신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폭발 및 충격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 시스템을 연구하며, 실제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내폭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성 향상과 재난 대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합성구조와 복합재료의 동적 특성 분석을 통해 방호구조물의 최적 설계 방안을 도출하고, 다양한 폭파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는 설계 코드와 평가 기준을 개발합니다. 실험실 및 현장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한요소해석(FE Analysis) 등 첨단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방호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방호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알루미늄 폼 패널을 이용한 합성 방폭벽체 등 다양한 신기술이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사회기반시설의 안전과 재난 대응을 위한 첨단 방호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프리캐스트 및 합성구조 기반 교량공학
프리캐스트(Precast) 및 합성구조(Composite Structures)는 현대 교량공학의 핵심 기술로, 본 연구실은 프리캐스트 데크, 프리캐스트 기둥, 모듈러 합성 교각 등 다양한 프리팹 구조물의 설계, 시공, 성능 평가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리캐스트 부재의 내구성, 연결부의 구조적 성능, 시공성 향상 및 급속 시공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연결부 설계와 시공 방법, 그리고 고성능 재료를 활용한 내진성능 및 내구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미적 디자인을 위한 3D 프린팅, 로보틱 가공 등 첨단 제조 기술을 접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교량 현장에 적용되어 시공 기간 단축, 품질 향상, 유지관리 효율성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프리캐스트 및 합성구조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와 실용신안, 그리고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며,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표준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통해 미래형 교량공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디지털 트윈 및 BIM 기반 인프라 유지관리
본 연구실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한 인프라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혁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모델을 통해 교량 및 도로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측 유지관리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생애주기 관리(Life-Cycle Management)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BIM 기반의 3차원 정보모델은 설계-제작-시공-유지관리 전 단계에 걸쳐 데이터의 일관성과 협업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본 연구실은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손상 시각화,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 자동화된 점검 및 보수공법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법을 접목하여 구조물의 손상 예측, 피로수명 평가, 유지관리 전략 최적화 등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인프라 관리 기술을 선도하며, 미래형 사회기반시설의 지속가능성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1
Experiments on Blast Protective Systems using Aluminum Foam Panel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14.11
2
Pressure-impulse diagram of multi-layered aluminum foam panels under blast pressure
Journal of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2013.06
3
Design of Protective structures with aluminum foam pane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2013.03
1
2017~ 중소 노후교량 장수명화 요소기술 실증 및 최적화 연구
2017년 ~ 1970년
2
2010~2015 직선교량의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표준모듈 활용 조립식 교량 기술개발 (Modular Bridge : Bridge piers with CFT modules)
2010년 ~ 2015년
3
2011~2014 성능기반 강-콘크리트 설계기준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codes on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2011년 ~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