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 Salts and Water Research Group
컴퓨터공학과 유종성
우리 연구실은 에너지 저장 및 변환을 위한 첨단 소재와 전기화학적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차세대 배터리(리튬-이온, 리튬-황, 전고체 배터리 등), 슈퍼커패시터, 연료전지, 수전해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 장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나노구조 소재와 고효율 촉매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실리카, 그래핀, 금속 산화물, 전이금속 합금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고표면적, 고전도성, 다공성, 이종원소 도핑 등 혁신적인 구조를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전극의 이온 및 전자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고, 에너지 저장 및 변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연 유래 규조토, 실리카, 해조류 등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개발, 그리고 고체 전해질 기반 전고체 배터리용 비전도성 호스트 소재 연구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연료전지 및 수전해용 고성능 전기촉매 개발에도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백금계 합금, 전이금속 기반 비백금 촉매, 이종원소 도핑 탄소 촉매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산소환원, 산소발생, 수소발생 반응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활성 및 내구성을 달성하였으며, 실제 산업적 응용을 위한 내구성 평가 및 대면적 전극화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광촉매 및 이산화탄소 전환 분야에서도, 가시광선 활성화가 가능한 환원형 TiO2, ZrO2, AgBiS2 등 다양한 반도체 및 금속 나노입자 복합체를 개발하여, 태양광 기반 수소 생산 및 CO2의 고부가가치 화합물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연구실은 소재 합성, 구조 제어,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실제 장치 적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차세대 에너지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서,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CO2 Conversion
Energy Storage
Photocatalysis
차세대 에너지 저장을 위한 나노소재 합성
우리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나노소재의 합성 및 구조 제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이온 및 리튬-황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등 고효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나노구조 탄소,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그리고 다공성 복합체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높은 표면적, 우수한 전기전도성, 그리고 구조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합성 방법론을 도입하여, 나노입자, 나노와이어, 나노시트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소재를 제작합니다. 예를 들어, 실리카 템플릿을 활용한 다공성 탄소 구조체, 금속-그래핀 복합체, 그리고 이종원소 도핑 탄소소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전극의 이온 및 전자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 수명, 충방전 속도 등 핵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리튬-황 배터리 분야에서는 비전도성 실리카, 규조토 등 자연 유래 소재를 활용한 황 담지 복합체를 개발하여,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 억제와 장기 사이클 안정성 확보에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고체 전해질 기반의 전고체 배터리에서도 비전도성 호스트를 적용하여, 전해질 분해 억제 및 황의 안정적 고정화라는 혁신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연료전지 및 수전해용 고성능 전기촉매 개발
본 연구실은 수소 경제 실현을 위한 연료전지 및 물 분해(수전해) 시스템의 핵심인 고성능 전기촉매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가의 백금(Pt) 기반 촉매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활성과 내구성을 갖는 비백금계 전기촉매, 전이금속 기반 합금, 그리고 이종원소 도핑 탄소 촉매를 설계 및 합성합니다. 이를 통해 산소환원반응(ORR), 산소발생반응(OER), 수소발생반응(HER) 등 다양한 전기화학 반응에서 우수한 촉매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나노구조 제어, 표면 도핑, 합금화, 그리고 코어-셸 구조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촉매의 활성점 노출을 극대화하고, 전자구조를 조절하여 반응 선택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예를 들어, Fe-N-C, Co-N-C 등 금속-질소-탄소 복합체, Pt-Mg, Pt-Co, PtP2 등 합금 촉매, 그리고 그래핀 기반 고흑연성 탄소 지지체 위에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촉매들은 고온 고내구성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그리고 알칼라인 수전해 시스템 등 다양한 차세대 에너지 변환 장치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촉매는 미국 DOE의 2025년 내구성 기준을 만족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성능과 내구성을 입증하였으며, 산업적 응용 가능성도 활발히 모색되고 있습니다.
광촉매 및 이산화탄소 전환을 통한 청정 연료 생산
우리 연구실은 태양광을 활용한 물 분해 및 이산화탄소(CO2) 전환을 통한 청정 연료(수소, 탄화수소 등) 생산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보이는 환원형 TiO2, ZrO2, AgBiS2 등 다양한 반도체 광촉매와, 금속 나노입자 코-촉매를 결합한 복합체를 설계하여, 태양광 기반 수소 생산 및 CO2의 고부가가치 화합물 전환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광촉매 합성에서는 마그네슘 환원, 수소 도핑, 이종원소 도핑, 나노구조 제어 등 다양한 혁신적 방법을 도입하여, 광흡수 범위 확장과 전하 분리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Pt, Ni, Co 등 금속 나노입자를 표면에 정밀하게 분산시켜, 전자 이동 및 반응 활성도를 높이고, 장기적 안정성도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복합 광촉매는 실제 메탄올-물, 해수, 이산화탄소-수증기 등 다양한 조건에서 우수한 수소 및 탄화수소 생산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CO2 전기환원 분야에서는 고활성 나노촉매와 복합체를 활용하여, CO2를 직접적으로 유용한 화학연료(예: 메탄, 에탄올 등)로 전환하는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매우 중요한 연구로,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1
Visible light-indu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gas-phase acetaldehyde with platinum/reduced titanium oxide-loaded carbon paper
Soonhyun Kim, Minsun Kim, Ha-Young Lee, Jong-Sung Yu
RSC Adv., 2017
2
Conjugated polyene-functionalized graphitic carbon nitride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water-splitting efficiency
HaipingLi, Ha-Young Lee, Gi-Sang Park, Byong-June Lee, Jong-Deok Park, Cheol-Hwan Shin, Wanguo Hou, Jong-Sung Yu
Carbon, 2018
3
Tailor-Made Pt Catalysts with Improved Oxygen Reduction Reaction Stability/Durability
Kiranpal Singh, Emmanuel Batsa Tetteh, Ha-Young Lee, Tong-Hyun Kang, Jong-Sung Yu
ACS Catalysis, 2019
1
다중다공 니켈폼 기반 소재 합성 및 수소생산 응용
3
전기화학 탄소 조립 기반 이퓨얼 생산 기초 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