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Construction Materials Lab

전남대학교 건축 공학과

이방연 교수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igh Damping Material

Self-healing Concrete

Construction Materials Lab

건축 공학과 이방연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건설재료연구실은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초고연성 콘크리트, 친환경 건설재료 등 첨단 건축재료의 개발과 특성 평가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셀비지 등 다양한 섬유를 활용하여 인장변형률이 10%를 넘는 초고연성 복합재료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기존 철근이나 일반 콘크리트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내진성, 내충격성, 내구성 등 구조적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실제 구조물의 보수·보강, 신축 구조물의 성능 향상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건설재료 평가 및 구조물 진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 자동 검출, 섬유 분산성 평가, 탄산화 영역 판별 등 다양한 비파괴 검사 분야에서 자체 개발한 이미지 분석 및 A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존의 수작업 및 육안 검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인공신경망, 유전 알고리즘, 퍼지 이론 등 첨단 AI 기법을 콘크리트 배합 최적화, 재료 특성 예측, 구조물 결함 진단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지속가능 건설재료 개발도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축입니다.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폐섬유, 폐고무 등 산업 부산물 및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무시멘트 복합재료, 셀비지 섬유 보강 복합재료, 고감쇠 폴리우레탄 복합재료 등은 탄소중립 실현과 자원 순환에 기여하며, 높은 기계적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자기치유 콘크리트 및 복합재료 개발을 통해 균열 발생 시 스스로 치유되는 재료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우수 학술지 논문, 특허,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학회 발표 등에서 활발히 공유되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기술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초고층 건물, 인프라, 내진 구조물, 내충격 패널 등 다양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첨단 건설재료와 진단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미래형 스마트 건설 및 지속가능한 사회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고성능·친환경 건설재료, 스마트 진단 및 유지관리 기술, 자기치유 및 지속가능 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창출하며, 건설공학 및 건축재료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역할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igh Damping Material
Self-healing Concrete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및 초고연성 콘크리트
본 연구실은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HPFRCC) 및 초고연성 콘크리트(Ultra-High Ductile Concrete)의 개발과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존의 콘크리트는 취성적 파괴와 균열 발생에 취약하지만, 본 연구실에서 개발한 복합재료는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코올(PVA), 셀비지 등 다양한 섬유를 활용하여 인장변형률 10% 이상, 최대 22%에 달하는 뛰어난 연성과 다중 미세균열 제어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능은 기존 철근이나 일반 콘크리트의 한계를 극복하며, 내진성, 내충격성, 내구성 등 구조적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복합재료, 플라이애시 및 산업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고연성 복합재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는 압축강도, 인장강도, 균열폭, 균열패턴 등 다양한 역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미시역학적 해석과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접목하여 섬유 분산성, 가교 거동, 균열 성장 메커니즘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셀비지 등 재활용 섬유를 적용한 복합재료의 경제성과 지속가능성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초고층 건물, 인프라, 내진 구조물, 내충격 패널 등 다양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구조물의 보수·보강, 신축 구조물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지 및 특허,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성과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친환경·고성능 건설재료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싱 및 인공지능 기반 건설재료 평가·진단 기술
본 연구실은 건설재료의 성능 평가 및 구조물 진단을 위한 첨단 이미지 프로세싱과 인공지능(AI) 기술의 융합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 자동 검출, 탄산화 영역 판별, 섬유 분산성 평가 등 다양한 비파괴 검사 분야에서 이미지 분석 기법을 개발하여, 기존의 수작업 및 육안 검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은 균열의 폭, 길이, 방향, 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의 패턴 인식 및 분류 기법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신경망(ANN), 유전 알고리즘, 퍼지 이론 등 다양한 AI 기법을 콘크리트 배합 최적화, 재료 특성 예측, 구조물 결함 진단 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 산정, 균열 성장 예측,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평가 등에서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실험적 데이터와 연계한 신뢰성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드론 및 무인 진단 시스템과 연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동 점검 기술도 연구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설 현장의 자동화, 스마트 유지관리, 구조물의 수명 연장 및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관련 특허와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인 기술 이전과 현장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래형 스마트 건설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구조물 관리 기술의 핵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지속가능 건설재료 및 자기치유 콘크리트
연구실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설재료 개발에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폐섬유, 폐고무 등 산업 부산물 및 재활용 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탄소중립 실현과 자원 순환에 기여하는 친환경 복합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시멘트(alkali-activated) 복합재료, 셀비지 섬유 보강 복합재료, 고감쇠 폴리우레탄 복합재료 등은 기존 시멘트 기반 재료의 환경적 한계를 극복하며, 높은 기계적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치유 기능성 콘크리트 및 복합재료 개발에 집중하여, 균열 발생 시 스스로 치유되는 재료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미네랄 기반 치유제, 슈퍼흡수성 폴리머, 순환유동층 보일러 바텀애시 등 다양한 첨가제를 적용하여, 균열 폭 제어, 내염성, 내식성, 내구성 향상 등 구조물의 장기적 성능 유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기치유 성능은 실험실 내 정량적 평가와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해 검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 및 자기치유 건설재료 연구는 국내외 특허,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학술논문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미래 건설산업의 지속가능성, 환경보호, 유지관리 비용 절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1
Extremely ductile green concrete with a tensile ductility of 22%, higher than steel
Ceramics International, 1970
2
Ambient temperature curing-stimulated one-part engineered geopolymer composites with extremely high ductility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Phương Hoàng Nguyễn, Huy Hoàng Nguyễn, Quang-Hiếu Lương, Youngsang Kim, Bang Yeon Lee*
ASC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2025
3
From textile waste to high-performance composites: investigating the role of selvage fibers in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Eunyoung Hwang, Se-Eon Park, Youngsang Kim, Huy Hoàng Nguyễn, Bang Yeon Lee*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5.08
1
BRL (선정)
2022년 06월 ~ 1970년
2
연구재단 중견연구 신규 (선정)
2022년 03월 ~ 1970년
3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촉진연구개발사업 (콘크리트 점착) (선정)
2021년 04월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