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현대영미희곡의 하이퍼리얼리티와 가상성 연구
현대영미희곡은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현실과 가상, 실제와 허구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하이퍼리얼리티의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조연이 연구실은 제니퍼 헤일리의 『네더』와 같은 작품을 통해 시뮬레이션 세계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가상현실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가상공간에서의 인간 정체성, 도덕적 책임, 그리고 현실과 가상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연극적으로 구현되는지 탐구합니다. 특히, 연구실은 하이퍼리얼리티가 연극적 공간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재현이 관객에게 어떠한 인식적 전환을 유도하는지에 주목합니다. 이를 위해 사이버네틱스, 디지털 라이브니스, 가상윤리 등 다양한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현대영미희곡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극이 단순한 현실의 모방을 넘어, 가상과 실제의 경계에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창조적 장으로 기능함을 밝힙니다.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기술 발전이 연극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공합니다. 나아가, 가상현실과 연극의 융합이 미래 예술의 방향성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탐색함으로써, 현대영미희곡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포스트휴먼 돌봄과 디지털 휴먼의 타자성
조연이 연구실은 현대영미희곡에서 나타나는 포스트휴먼 돌봄과 디지털 휴먼의 타자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rjorie Prime』과 같은 작품을 통해 인간과 인공지능, 혹은 디지털 존재 간의 관계와 돌봄의 윤리를 탐구합니다. 이 연구는 인간의 정체성이 기술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지, 그리고 디지털 존재가 인간 사회에서 어떤 타자성으로 인식되는지를 분석합니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새로운 존재론적 관점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연극이라는 매체가 이러한 담론을 어떻게 시각화하고, 관객에게 새로운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지에 주목합니다. 특히, 디지털 휴먼이 연극 무대에서 구현될 때 발생하는 감정적, 윤리적, 사회적 긴장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 실제와 가상, 주체와 타자의 경계가 어떻게 해체되고 재구성되는지 탐색합니다. 이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기술의 공존, 그리고 돌봄의 새로운 형태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촉진합니다. 또한, 연극예술이 포스트휴먼 시대의 윤리와 정체성 문제를 실험하고 사유하는 중요한 장임을 강조함으로써, 인문학과 예술의 융합적 연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기억, 아카이빙, 그리고 연극적 재현
조연이 연구실은 현대영미희곡에서 기억과 아카이빙의 문제, 그리고 이들이 연극적으로 어떻게 재현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수잔로리 팍스의 『피클링』, 해럴드 핀터의 『Old Times』 등 다양한 작품을 분석하며, 기억의 주관성과 아카이빙의 정동적 측면을 탐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극이 과거의 사건과 감정을 현재의 무대 위에 어떻게 소환하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지에 주목합니다. 연구실은 메타시어터, 플래시백, 다층적 내러티브 구조 등 연극적 장치를 활용하여 기억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연극이 단순한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 현실과 허구가 교차하는 역동적 공간임을 밝힙니다. 또한, 아카이빙의 행위가 연극적 맥락에서 어떻게 정동적으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합니다. 이 연구는 기억과 아카이빙의 문제를 연극예술의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예술이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서사에 기여하는 방식을 새롭게 조명합니다. 나아가, 연극이 사회적 트라우마, 집단적 기억,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