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polymers Laboratory
신소재공학과 박철민
Nanopolymers Laboratory는 신소재공학과에 소속된 연구실로, 주로 웨어러블 뉴로모픽 장치, 수분 센싱 디스플레이, 이온트로닉 뉴로모픽 스킨, 맥신 투명 전극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아모레퍼시픽, 현대엔지비 등 다양한 기업과 협력하여 수분 센싱 디스플레이와 전기차용 저전력 맥신 발열 소재 특성 연구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특히, 인간중심 미래선도 소재 교육연구단과 인공 공감각 일렉트로닉스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파장-진폭 동시 제어형 광암호화 센싱 디스플레이와 멀티모달 인지형 고유 신축성 웨어러블 뉴로모픽 표시장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양한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관련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Wearable Neuromorphic Devices
Moisture Sensing Displays
Ionic Neuromorphic Skin
다기능 센싱 디스플레이 기술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소재공학과의 나노폴리머 연구실은 다기능 센싱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수분 및 다양한 생리적 신호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수분 감지 및 비슷한 환경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디스플레이는 화장품 산업과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뉴로모픽 전자 피부 기술
연구실은 뉴로모픽 전자 피부 기술 개발에 있어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뉴로모픽 전자 피부는 인체의 감각을 모사하여 다양한 외부 자극을 인지하고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소프트 이온트로닉 뉴로모픽 스킨소자와 같은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재활 치료, 로봇 공학, 및 고도화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개발에 중요한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다중 모달 센싱 및 고유 신축성 특성을 통해 더욱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Moisture-driven energy generation by vertically structured polymer aerogel on water-collecting gel
Kaiying Zhao, Shengyou Li, Guangtao Zan, Gwanho Kim, Wei Jiang, Jong Woong Park, Jungwon Yoon, Ji Hye Oh, Jihye Jang, Seonju Lee, Eun Ae Shin, HoYeon Kim, Cheolmin Park
Nano Energy, 2024
2
An All-Protein Multisensory Highly Bionic Skin
Shengyou Li, Andeng Liu, Wu Qiu, Yimeng Wang, Guoqing Liu, Jiarong Liu, Yating Shi, Yaxian Li, Jianing Li, Wenjie Cai, Cheolmin Park, Meidan Ye, Wenxi Guo
ACS Nano, 2024
3
Self-Powered Sweat-Responsive Structural Color Display
Taebin Kim, Tae Hyun Park, Jae Won Lee, Dongwook Lee, Seungsoo Mun, Gwangmook Kim, Yeonji Kim, Gwanho Kim, Jong Woong Park, Kyuho Lee, Seung Won Lee, Seungbae Jeon, Du Yeol Ryu, Wooyoung Shim, Jayoung Kim, Cheolmin Park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4
1
[민간/아모레퍼시픽] 수분 센싱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센서리 시각화
2
(통합Ezbaro/Iris)(중견후속)파장-진폭 동시 제어형 광암호화 센싱 디스플레이(2/3)(2023.03.01~2026.02.28)
3
[5차년도] 인간중심 미래선도 소재 교육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