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조용훈 연구실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조용훈 교수

조용훈 연구실은 반도체 나노구조 및 양자광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III-질화물(III-nitride) 계열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반도체 나노구조(양자점, 양자선, 양자우물 등)의 성장, 제어,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양자광원 및 고효율 광소자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치 제어가 가능한 단일 양자점, 3차원 구조체(피라미드, 나노로드, 마이크로로드 등), 그리고 플라즈모닉 구조와의 결합을 통해 실온에서 동작 가능한 단광자 광원, 고효율 LED, 레이저, 광센서 등 다양한 광소자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집속이온빔, 나노패터닝, 화학적 에칭 등 첨단 나노가공 기술을 융합하여, 소자의 집적도와 효율을 극대화하고, 양자정보통신 및 집적형 양자포토닉스 회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마이크로 LED, 백색 LED, 자외선(UV) LED, 메타표면 기반 색변환층, 플라즈모닉 나노구조 등 혁신적인 소자 구조를 제안하고, 실용화 및 상용화를 위한 공정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반도체 광소자의 효율 저하(드룹) 현상, 표면 플라즈몬 공명, 스트레인 공학, 결함 제어 등 소자 성능을 좌우하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심층 분석과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양자정보통신, 양자컴퓨팅, 차세대 디스플레이, 고성능 광센서, 바이오이미징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다수의 특허와 논문, 국제학술대회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성과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반도체 물리, 광학, 나노과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학생 및 연구원들은 첨단 장비와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초과학부터 응용기술까지 폭넓은 연구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글로벌 연구역량을 키우고 있습니다. 조용훈 연구실은 앞으로도 반도체 나노구조 및 양자광학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하며, 차세대 양자광원 및 고효율 광소자 개발을 통해 미래 정보통신, 디스플레이, 센서,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