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Flexible Electronic and Energy Devices Laboratory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정승준 교수

플렉서블 전자소자 (Flexible electronics)

스트레처블 플랫폼 (Stretchable electronics platforms)

신축 전극 소재 (Stretchable electrode materials)

3D 프린팅 기반 디스플레이 (3D-printed freeform displays)

에너지 수확 및 저장 소자 (Energy harvesting & storage devices)

프로젝트 공고 바로가기

Flexible Electronic and Energy Devices Laboratory

전기전자공학부 정승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정승준 교수의 FLEX Laboratory(FLEX Lab.)는 첨단 유연 전자소자와 에너지 수확/저장 장치에 기반한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연구에 집중하는 융합형 연구실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축 전극 소재의 3D 프린팅 기술, 자유 형상 디스플레이, 스트레처블 플랫폼, 에너지 하베스팅/저장 장치 개발 등이며, 특히 전방위 3D 프린팅 가능한 신축 전극 소재와 이를 활용한 자유형상 디스플레이 응용 연구로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고 세계적 학술지 Nature Electronics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정승준 교수는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소속으로, 미래 유연 전자 및 에너지 소재 분야에서 연구 리더십을 발휘하며, FLEX Lab.에서 대학원생과 학부생에게 실험 기반의 융합적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설계 역량을 갖춘 연구 환경을 제공합니다.

플렉서블 전자소자 (Flexible electronics)
스트레처블 플랫폼 (Stretchable electronics platforms)
신축 전극 소재 (Stretchable electrode materials)
3D 프린팅 기반 디스플레이 (3D-printed freeform displays)
에너지 수확 및 저장 소자 (Energy harvesting & storage devices)
유연형 CMOS 회로 (Flexible CMOS circuits)
차세대 반도체 소자 (Emerging semiconductor devices)
연구실 하이라이트
연구실의 정보를 AI가 요약해서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두었어요
세계최초
세계 최초 3차원 형상 구현, 전방위 인쇄형 신축 전극 기술
AI 요약 확인하기
기술파급력
이미지 왜곡 없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용 메타 기판 기술
AI 요약 확인하기
상용화성공
밀리와트(mW)급 발전, 인체열 기반 고성능 신축 열전소자
AI 요약 확인하기
SCIE논문
15,000 PPI 초고해상도 양자점(QD) 직접 패터닝 기술
AI 요약 확인하기
기업협력
0.1초 초고속 롤투플레이트(Roll-to-Plate) 나노 패터닝 공정
AI 요약 확인하기
연구자역량
정부·산업계가 인정한 독보적 연구 역량 및 리더십
AI 요약 확인하기
맞춤형 인사이트 리포트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연구 트렌드부터 공동 연구 방향성 기획까지
연구실과 같이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무료 리포트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