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질량분석연구실

서강대학교 화학과 오한빈 교수

질량분석연구실은 첨단 질량분석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화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분석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MALDI-TOF, LC-MS/MS 등 최신 분석 장비와 혁신적인 실험실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환경, 식품, 의약품,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미량 유해물질, 생체분자, 신약 후보물질 등의 신속하고 정확한 정성·정량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유라디칼 개시 펩타이드 시퀀싱(FRIPS), 전자포획분해(ECD), 충돌유발분해(CID) 등 다양한 이온화 및 분해 기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생체분자 및 고분자 화합물의 구조와 특성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법은 단백질, 펩타이드, 올리고머, 지질 등 다양한 생체분자 및 화학물질의 구조적 정보와 상호작용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반의 화학정보학 및 반응예측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질량분석 데이터와 화학 구조 정보를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 불법 약물, 환경 유해물질 등 미지의 화합물 동정 및 분류를 위한 AI 기반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을 활용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 유지시간 예측, 하이브리드 유사도 검색, 분자 네트워킹 등 첨단 데이터 분석 기법을 도입하여, 복잡한 혼합물 내에서 미지의 화합물 탐지 및 구조 예측의 정확도를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환경 및 생체시료 내 유해화학물질의 정밀 분석과 위해성 평가 연구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내 공기, 식품, 소비재, 생체유체 등 다양한 환경 및 생체 시료에서 미량의 오염물질, 잔류물, 신종 유해물질을 검출하고, 이들의 노출량 및 독성 평가를 위한 분석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체 내 대사체 분석(메타볼로믹스), 단백질체 분석(프로테오믹스) 등 오믹스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환경보건, 식품안전, 공중보건, 산업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 건강 보호와 환경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 및 산업계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실질적 정책 및 규제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적 분석기술과 데이터 기반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