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최세휴 연구실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최세휴 교수

GIS-based Load Estimation

Optimal Steel Structure Design

BIM-based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최세휴 연구실

토목공학과 최세휴

최세휴 연구실은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소속으로, 건축환경 및 설비,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첨단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건축물의 풍하중 및 지형계수 산정, 공간정보 기반의 스마트 안전 시스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최적설계 등 건설환경 분야의 핵심 이슈에 대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풍하중 및 지형계수 산정 연구에서는 GIS, DEM 등 공간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축물의 설계에 필요한 다양한 환경 파라미터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층 건축물, 교량, 옥외광고물 등 다양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와 설계 최적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공간정보와 IoT, 센서 네트워크, 무선통신 등 첨단 ICT 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 재난 대응 및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위험 감지, 경보 및 대피 안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시스템은 실제 학교, 공공시설, 도시 인프라 등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최적설계 분야에서도 본 연구실은 유전자 알고리즘, 고등해석, 비선형 해석 등 첨단 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과 경제적 유지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특허와 실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성능 모니터링과 스마트 진단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지원사업 등 다양한 형태로 축적되고 있으며, 공간정보 융복합 인재 양성 등 교육 분야와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세휴 연구실은 건설환경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안전망 구축을 위한 연구와 실용화에 지속적으로 매진할 것입니다.

GIS-based Load Estimation
Optimal Steel Structure Design
BIM-based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건축물의 풍하중 및 지형계수 산정 기술
본 연구실은 건축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풍하중 및 지형계수 산정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풍하중은 건축물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로, 건물의 높이, 위치, 주변 지형 및 지표면 조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 연구실은 GIS(지리정보시스템)와 DEM(수치표고모델) 등 첨단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객관적인 풍하중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형계수와 지표면 조도 산정에 있어 기존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고, 통계적 기법과 회귀분석, 표본 수집, 밀집도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 방법론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설계풍속, 풍속고도분포계수, 노풍도 등 주요 설계 파라미터를 합리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 건축물의 다양한 평면 형상과 높이 분포를 반영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층 건축물, 교량, 옥외광고물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논문을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풍하중 산정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높여 건설환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공간정보 기반 스마트 안전 및 재난 대응 시스템
본 연구실은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 및 재난 대응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건축물의 노후화, 도시화,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재난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센서 네트워크, IoT, 무선통신, 데이터 분석 기술을 융합하여 건물 내외부의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신속하게 경보 및 대피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선 재난정보경보시스템, 비상전원 시스템, 스마트폰 기반 대피 안내 시스템 등 다양한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 학교, 공공시설, 대형 건축물 등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각종 센서(가속도, 온도, 가스 등)와 연동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사용자 맞춤형 경보 전달, 실시간 대피 경로 안내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재난 상황에서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용화 사업, 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며, 공간정보 융복합 인재 양성 등 교육 분야와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첨단 공간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안전·재난 대응 시스템의 고도화와 실용화에 앞장설 것입니다.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최적설계 기술
구조물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실은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최적설계 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노후화된 교량, 슬래브, 트러스 구조물 등 다양한 인프라의 유지관리와 성능 개선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본 연구실은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보수·보강 장치 및 방법을 개발해왔습니다. 특히, 유전자 알고리즘, 고등해석, 비선형 해석 등 첨단 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최적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인상장치, 가압기, 보강장치 등 다양한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구조물의 내하력 증진, 변형 및 손상 최소화, 경제적 유지보수 등 실질적인 효과를 제공하며,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구조물의 성능 모니터링, 스마트 센서 기반 진단 시스템, 실시간 데이터 분석 등 최신 IC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구조물의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필요한 보수·보강 시점을 예측하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구조물의 안전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매진할 것입니다.
1
Simulating Flash-over Point in Fire Alarm Metaverse: Evidence from University Lecture Room
최세휴
SENSORS AND MATERIALS, 202309
2
Developing an Optimal Ensemble Model to Estimate Building Demolition Waste Generation Rate
최세휴
SUSTAINABILITY, 202307
3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of Demolition-Waste Generation-Rate vi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최세휴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302
1
(2024년)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사업
(재) 공간정보산업진흥원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2024년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사업
(재) 공간정보산업진흥원
2024년 03월 ~ 2024년 12월
3
스마트 순환 사회환경시스템 인재양성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