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신소재 및 재료합성
문대규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위한 신소재 개발과 재료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그리고 다양한 나노소재 기반의 발광 소자에 적용 가능한 핵심 재료의 합성 및 특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새로운 발광 재료의 합성, 전극 및 전하 수송층 소재 개발, 그리고 고효율·고신뢰성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소재 혁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내에서 다양한 합성 방법론(용액공정, 스퍼터링, 증착 등)을 활용하여 진행되며, 소재의 미세구조 제어와 전기적·광학적 특성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에는 비진공 공정, 인쇄 공정 등 대량생산에 적합한 제조 기술과 연계하여,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신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도핑 및 계면공학 기술을 접목하여 발광 효율과 수명을 극대화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소재 및 재료합성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 에너지 효율, 유연성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용화 및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고효율·고신뢰성 발광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 구조 개발
연구실은 고효율 및 고신뢰성 발광 소자, 특히 OLED와 QLED, 그리고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 소자 구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논문과 특허, 그리고 대형 국책과제 수행을 통해, 발광 소자의 전기적·광학적 특성 향상, 구동 전압 저감, 수명 연장, 색상 안정성 확보 등 실질적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공 및 전자 수송층, 발광층, 보호막 등 소자 내 각 기능층의 최적화와 계면공학적 접근을 통해 소자 구조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대면적 UHD 패널 등 차세대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자 구조와 제조 공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및 종이 기판을 활용한 유연 소자, 투명 전극 및 반투명 캐소드 구조, 색변환층 및 반사층 설계 등 다양한 혁신적 구조가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쇄공정 및 비진공 공정 기반의 대면적·저비용 제조 기술과 연계하여, 상용화에 적합한 소자 구조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자 구조 개발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신뢰성, 내구성, 에너지 효율, 색재현성 등 핵심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제 산업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기술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