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지연 연구실
의과대학 변지연
변지연 연구실은 피부면역과 피부질환의 병태생리, 금속 알레르기 및 접촉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질환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의학과 소속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피부면역의 기초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 만성 두드러기, 접촉피부염, 천포창 등 면역 관련 피부질환의 발생기전과 임상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상 증례 분석, 조직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 동물모델 실험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면역관문억제제 등 신약 사용에 따른 피부 부작용, 약물 발진, 희귀 피부질환의 임상적 특성 및 치료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피부질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패치테스트, 바이오마커 발굴, 임상코호트 구축 등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피부질환의 조기진단과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속 알레르기 및 접촉피부염 분야에서는 국내외 유통 제품의 금속 함유량 및 방출량 분석, 금속 알레르기 환자에서의 식이 제한 효과, 환경 및 직업성 피부염의 역학적 특성 등 실용적이고 환자 중심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금속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식이 가이드라인 개발, 표준화된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 제시 등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활발한 연구 발표와 논문 출판을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피부질환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상 현장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법 개발, 피부질환 예방 및 관리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지연 연구실은 피부면역 및 알레르기 질환의 병태생리 규명, 새로운 치료 타겟 및 바이오마커 발굴, 환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실용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Cutaneous Lymphoma
피부면역과 피부질환의 병태생리 연구
본 연구실은 피부면역의 기초와 임상적 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신체의 첫 방어선으로, 다양한 면역세포와 면역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피부면역의 주요 구성 요소인 각질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T세포, 대식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의 상호작용과 이들이 피부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 접촉피부염, 만성 두드러기, 천포창, 건선 등 면역 관련 피부질환의 병태생리와 면역반응의 조절기전을 집중적으로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면역관문억제제와 같은 신약 사용에 따른 피부 부작용, 예를 들어 면역관문억제제 유발 수포성 질환, 약물 발진 등 임상 현장에서 빈번히 관찰되는 면역 관련 피부질환의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상 증례 분석, 조직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기법, 동물모델 연구 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피부면역의 이상이 어떻게 다양한 피부질환으로 발현되는지, 그리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타겟이나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과 피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금속 알레르기 및 접촉피부염의 임상 및 환경 연구
연구실은 금속 알레르기와 접촉피부염의 원인 규명과 예방,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산업화와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금속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니켈, 코발트, 크롬 등 다양한 금속이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제품의 금속 함유량 분석, 금속 방출량 측정, 금속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임상 역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패치테스트를 통한 표준항원 양성률 분석, 금속 알레르기 환자에서의 식이 제한 효과, 금속 알레르기와 관련된 다양한 임상양상(눈꺼풀 피부염, 손 습진, 직업성 피부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금속 알레르기 환자를 위한 식이 가이드라인 개발, 금속 알레르기 유발 환경요인에 대한 환자 교육 자료 제작 등 실용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금속 알레르기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재발 방지,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내외 표준화된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 수립에도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금속 알레르기와 접촉피부염의 예방, 조기진단,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1
Flagellate erythema: A rare presentation of idiopathic dermatomyositis
변지연, 최지우, 이진주, 최혜영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202501
2
Possible therapeutic target MKK3 in blister formation in pemphigus
Kim Rosa, Kim Eun Hye, Ahn Min Jeong, Choi You Won, Choi Hae Young, Kim Seong Hwan, Byun Ji Yeon
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202406
3
Analysis of total excipients of topical corticosteroids marketed in Korea
Choi Jeewoo, Lee Jin Ju, Lee Heera, Byun Ji Yeon, Choi You Won, Roh Joo Young, Choi Hae Young
CONTACT DERMATITIS, 202403
1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증시스템 개발을 위한 임상코호트 구축
2
피부암 및 피부질환에서 TAM 수용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