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의료/진단 솔루션
  • 질병 조기진단 및 약물 스크리닝: 치매 단백질, 바이러스 등 특정 바이오마커를 초고감도로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플랫폼(테라헤르츠 분광, 나노디스크 기반)을 개발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진단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합니다.
  • 차세대 시각 복원 기술: 인공 광수용체 기반의 색 인지 시각 복원 원천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인공망막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각장애 환자를 위한 혁신적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나노바이오 인터페이스 기술은 진단, 질병 모니터링, 맞춤 의학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기술은 소형화, 비용 효율성, 고감도 및 특이성을 바탕으로 정밀 진단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집니다.

2
에너지/환경 솔루션
  • 수소 에너지 안전 시스템: 금속-유전체 나노구조를 활용한 수소 감지 스마트 유리/윈도우 기술을 개발하여, 수소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시각적 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수소 충전소, 생산 시설 등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입니다.
  • 환경 유해물질 실시간 측정: 현장 검지형 나노플라스틱 측정 필터 및 분석 원천 기술을 개발하여, 수질 및 대기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정확한 오염원 관리가 가능한 상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청정에너지 및 환경 규제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 기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기술은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바탕으로 국내외 에너지 및 환경 시장에 진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첨단 소재/부품 및 인재양성
  • 고성능 디스플레이 소재: 잉크젯 프린팅과 원자층 침투법을 결합한 OLED용 고성능 봉지소재 기술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수명과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 산학협력 기반 인재양성: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KIST 등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R&D를 수행하고, 실무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합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 소재·부품 국산화에 기여하고,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해 기업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며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 인재를 확보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합니다.

진행 중인 프로젝트

2

완료된 프로젝트

40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연구사업(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2025년 -

기초연구사업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2

초경량 고해상도 다차원 메타표면 기반 바이오이미징 및 센싱 시스템 구현

2024년 07월 - 2024년 12월

3

금속-유전체 박막 나노구조를 이용한 수소감지 스마트 유리 기술 개발

2024년 06월 - 2025년

4

GPCR-나노디스크 기반 테라헤르츠 분광 약물 검색 기술 개발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5

(최종)현장 검지형 나노플라스틱 실시간 측정을 위한 필터 및 정성/정량분석 원천 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2월 - 2024년 11월

유전영동

미세플라스틱

나노파티클

광센싱

필터

6

AI 기술을 활용한 감염병의 전파 관련 매개변수 분석

2023년 04월 - 2023년 12월

7

현장 검지형 나노플라스틱 실시간 측정을 위한 필터 및 정성/정량분석 원천 기술 개발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8

수소 감응형 스마트 윈도우 기술 개발

2022년 09월 - 2022년 12월

9

(GM) 광학기반 진단/의료용 세포체밖 소포체 원천 기술 개발

2022년 03월 - 2022년 12월

10

나노플라스틱 실시간 측정을 위한 필터 및 정성/정량분석 원천 기술 개발

2022년 03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