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산 연구실
스마트생물산업기계공학과 박두산
박두산 연구실은 농산식품가공기계의 설계 및 개발, 스마트팜 자동화, 바이오센서 및 종이기반 미세유체 센서, 그리고 AI 기반 정밀농업 등 첨단 농업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농업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기계의 구조 해석, 설계 최적화, ICT 융합 자동화 시스템 개발 등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업 생산의 효율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그리고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센서 및 종이기반 미세유체 센서 분야에서는 식품 안전, 농업 병해 조기진단,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저비용·고효율 센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센서, 형광 및 전기화학 신호 증폭 기술, 나노소재 활용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현장 진단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출원과 학술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AI 및 데이터 기반의 정밀농업과 축산 사료 최적화 연구도 본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진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작물 생육 상태 분석, 온실 환경 제어, 사료 배합비 최적화 등 농업 생산의 전 과정을 데이터 기반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원 절감, 품질 향상, 환경 친화적 농업 실현 등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산학협력 및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농업공학 역량 강화와 차세대 농업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 농업기계, 바이오센서, 정밀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농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박두산 연구실은 첨단 농업공학 기술의 연구와 현장 적용을 통해 농업 생산성 향상, 식품 안전성 확보, 그리고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입니다. 혁신적인 연구와 실용적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국내외 농업 및 식품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Biosensors for Agriculture
Animal Health Monitoring
Food Safety Sensors
농산식품가공기계 및 스마트팜 자동화 기술
본 연구실은 농산식품가공기계의 설계 및 개발을 중심으로 첨단 농업기계와 스마트팜 자동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농업 현장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농업기계의 구조 해석, 설계 최적화, 그리고 ICT 융합 기술을 적용한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지 및 과수용 다목적 농업기계 플랫폼, 자동화된 수확 및 이식 시스템, 그리고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기술 등 다양한 현장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 분야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기반의 환경 제어, 작물 생육 모니터링, 자동화된 관수 및 양액 공급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을 활용한 현장 진단 및 제어 기술, 무선통신 기반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그리고 로봇을 활용한 농작업 자동화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 생산의 효율성 향상뿐만 아니라,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농업 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 그리고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농업기계와 스마트팜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 농업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바이오센서 및 종이기반 미세유체 센서 기술
본 연구실은 바이오센서와 종이기반 미세유체 센서 기술 개발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품 안전, 농업 병해 조기진단,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저비용·고효율의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종이기반 바이오센서는 간편한 제작과 사용, 휴대성,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현장 진단 및 실시간 모니터링에 매우 적합합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종이기반 센서, 형광 및 전기화학 신호 증폭 기술, 그리고 다양한 나노소재를 활용한 감지 민감도 향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린, 병원성 미생물, 중금속 등 다양한 타겟 물질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여, 농업 및 식품 산업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축산 사료 품질 관리, 식품 신선도 평가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바이오센서 연구는 특허 출원,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형 농업 및 식품 산업의 안전성과 효율성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현장 적용을 통해 바이오센서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AI 및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과 축산 사료 최적화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기반의 정밀농업 기술과 축산 사료 최적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농업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물 생육 상태, 토양 및 환경 정보, 사료 성분 분석 등 다양한 요소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농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딸기 생육단계 인식, 온실 내 센서 배치 최적화, 가축 사료 배합비 최적화 등 AI와 머신러닝, 진화 알고리즘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농업 생산의 효율성 증대, 자원 절감, 품질 향상, 그리고 환경 친화적 농업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클라우드 기반 제어 플랫폼 개발 등 첨단 ICT 기술과의 융합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축산 분야에서는 사료의 영양성분과 비용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알고리즘 개발, 사료 이력 추적 시스템, 그리고 비파괴적 사료 품질 평가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축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그리고 안전한 먹거리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AI 및 데이터 기반의 정밀농업과 축산 사료 최적화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1
Selective Determination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on Screen-Pri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lectrodes Modified with a Reduced Graphene Oxide (rGO), Gold Nanoparticle (AuNP), and Poly-Methylene Blue Nanocomposite
박두산
ANALYTICAL LETTERS, 202505
2
SmartBerry for AI-based growth stage classification and precision nutrition management in strawberry cultivation
박두산
SCIENTIFIC REPORTS, 202504
3
Many objective optimization and decision support for dairy cattle feed formulation
박두산
SCIENTIFIC REPORTS, 202504
1
농업 병해 조기진단을 위한 종이기반 바이오센서 개발 연구
2
(장기계속/2차) 농업공학 역량강화 석사 학위연수(2023-2027) 용역
3
AI기반 딸기 생육단계 인식을 통한 순환식 단비 양액기 및 클라우드 제어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