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클라우드 컴퓨팅 및 대용량 데이터 처리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대 IT 인프라의 핵심 기술로, 다양한 산업과 과학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자원 효율성, 확장성, 그리고 고가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상머신 배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자동화된 자원 할당 및 오토스케일링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 센터와 슈퍼컴퓨팅 환경에서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Big Data Processing)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석·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본 연구실은 분산 파일 시스템, 데이터 집약적 워크로드, 그리고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의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ERN ALICE 실험의 대용량 실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분석 환경 구축, 분산 파일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 그리고 데이터 세트 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등이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및 과학 연구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데이터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비용 절감, 그리고 데이터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처리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며,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2
고성능·고처리량 컴퓨팅 및 과학 데이터 인프라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과 고처리량 컴퓨팅(High Throughput Computing, HTC)은 대규모 과학 실험,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등에서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은 HPC 및 HTC 환경에서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산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리고 데이터 집약적 워크로드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ALICE 실험의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HPC 기반 하이브리드 환경 구축, 다양한 분산 파일 시스템의 성능 평가, 그리고 컨테이너 기반 워크로드의 효율적 운영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과학 데이터 인프라 측면에서는, 대용량 실험 데이터의 저장, 전송, 분석을 위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EOS, RAID, Erasure Coding 등)과 데이터 센터 인프라의 자동화 및 모니터링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신뢰성 및 복구, 장애 대응 전략, 그리고 데이터 집약적 과학 워크플로우의 통합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CERN ALICE, KISTI, 삼성전자 등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고성능·고처리량 컴퓨팅 연구는 슈퍼컴퓨팅,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대규모 실험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와 분석, 그리고 데이터 인프라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매진할 예정입니다.
3
양자 컴퓨팅 및 차세대 데이터 컴퓨팅
양자 컴퓨팅은 기존의 고전적 컴퓨팅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본 연구실은 양자 알고리즘, 양자 시뮬레이션, 그리고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양자 게이트 및 HPC 시뮬레이션, 양자 컴퓨팅과 고성능 컴퓨팅의 융합, 그리고 양자 기반 데이터 분석 기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데이터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데이터 컴퓨팅 연구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사물인터넷(IoT) 등과의 융합을 통해 데이터 중심의 혁신적인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DN 기반 대용량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AmoebaNet), 클라우드-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통합, 그리고 데이터 집약적 과학 워크플로우의 자동화 및 최적화 전략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지향적 데이터 컴퓨팅 인프라의 설계와 구현, 그리고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위한 데이터 분석 환경의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앞으로도 양자 컴퓨팅 및 차세대 데이터 컴퓨팅 분야에서 국내외 연구를 선도하며,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창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