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태민 연구실
치의학과 유태민
유태민 연구실은 단국대학교 치의학과에 소속된 연구실로, 구강악안면성형외과 분야에서 임플란트, 골재생, 그리고 치과 수술 환자의 전신질환 및 약물 관련 합병증 관리 등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골재생 촉진 방법,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그리고 상악동 거상술 등 임플란트와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혈소판 농축 접착제와 자가골 이식의 병용 효과, flap과 flapless 시술법의 비교,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등 임플란트 시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간이식 환자,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 장애 환자 등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치과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과 응급상황에 대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약물 관련 골괴사(MRONJ), 아나필락시스, 치과용 약물 부작용 등 치과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안전한 진료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장애 환자나 치과 공포증 환자 등 행동조절이 어려운 환자에 대한 진정 및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그리고 흡입진정법의 임상 적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환자군의 치과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구강악안면성형외과 및 치의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임상적 표준화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임상과 기초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치과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구강악안면 임플란트 및 골재생 연구
유태민 연구실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임플란트 시술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플란트 주위 골 결손의 재생, 임플란트 식립 방법의 비교, 그리고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물 모델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flap과 flapless 시술법의 차이, 자가골 이식과 혈소판 농축 접착제(platelet-enriched fibrin glue)의 효과, 그리고 임플란트 주위 골 결손의 재생 촉진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임플란트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임상적 문제, 예를 들어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이나 상악동 거상술(sinus floor augmentation) 등에서의 골재생 촉진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노력합니다. 혈소판 농축 접착제와 자가골 이식의 병용이 임플란트 주위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임플란트 식립 시 골 결손의 치유 과정에 대한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새로운 재생재료의 개발과 적용, 임플란트 시술의 표준화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어, 구강악안면 임플란트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치과 수술 환자의 전신질환 및 약물 관련 합병증 관리
연구실은 치과 수술 환자 중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 특히 간이식 환자,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 장애 환자 등 특수 상황에 처한 환자들의 안전한 치과 치료를 위한 임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간이식 환자의 출혈 경향,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의 발치 시 출혈 위험, 그리고 장애 환자의 진정 및 전신마취 하 치과 치료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안전 관리 방안을 모색합니다.
특히, 약물 관련 골괴사(MRONJ)와 같은 치과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에 대한 최신 견해와 치료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와 같은 응급상황에 대한 진단과 응급처치 방법, 그리고 치과용 약물에 의한 부작용 관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치과의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장애 환자나 치과 공포증 환자 등 행동조절이 어려운 환자에 대한 흡입진정법(Sevoflurane inhalation sedation) 등 다양한 진정·마취 기법의 임상 적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치과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환자군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Galectin-3 Plays an Important Role in BMP7-Induced Cementoblastic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by Interacting with Extracellular Components
유태민, 장영주, 최민정
Stem Cells International, 202306
2
Cell Surface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Leucine Proline-Enriched Proteoglycan 1 Enhances Odontogenic Potential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유태민, 장영주, 고선일, 강경정, 최민정, 민태준, 이규태
STEM CELLS AND DEVELOPMENT, 202211
3
Single-Tooth Osteotomy Using Piezoelectric Devices to Treat an Ankylosed Maxillary Molar
INTERNATIONAL JOURNAL OF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ISTRY, 20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