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Funnano Lab은 나노구조제어 및 나노전사 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나노소자 및 시스템의 혁신을 이끄는 세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블록 공중합체 자기조립, 나노입자 및 나노와이어의 정밀 제어, 2차원 및 3차원 서브-10nm 나노아키텍처 구현 등 첨단 나노패터닝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리소그래피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고정밀, 고신뢰성의 나노소자 제조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구조제어 기술은 트랜지스터, 메타물질, 에피더멀 센서, 메모리 소자 등 차세대 전자소자뿐만 아니라, 표면증강 라만 분광(SERS) 센서, 고감도 바이오센서, 고해상도 양자점 기반 광전자 소자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용매 보조 및 열 보조 나노전사 프린팅 기술을 통해 다양한 소재와 기판에 고해상도 나노패턴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생체 표면과 같은 비정형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Funnano Lab은 에너지 저장 및 변환 분야에서도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노구조 기반의 전극 및 촉매, 3차원 네트워크 구조, 고효율 연료전지 및 수전해 촉매, 고용량 이차전지 소재, 고내구성 열전소자 등 다양한 에너지 소자 개발을 통해,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구조의 계면 제어를 통한 촉매의 선택성 및 내구성 향상, 이온 및 전자 이동 경로 최적화 등 실질적 상용화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광전자 및 바이오센서 분야에서는 양자점 기반 고해상도 패터닝, 3차원 플라즈모닉 나노구조, 다중 신호 검출 나노그리드, SERS 기반 바이오센서 등 혁신적 소자 개발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의료진단, 환경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신호 분석, 대사체 분석,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박테리아 신속 진단 등 바이오의료 분야로의 확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Funnano Lab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문화를 바탕으로, 나노과학·공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미래 에너지, 바이오, 정보통신,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 양성과 원천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